다산(茶山) 선생이 강진 유배 18년간 500권의 책을 저술한 것은 철저한 전략적 독서의 결과이다.
필요한 부분만 읽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철저히 배제한 독서법의 승리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인나미 아쓰시라는 일본의 독서가는 글의 핵심을 담고 있는 한 줄을 발견할 것을 주문한다.

한 페이지를 읽는 데 5분이나 걸렸던 그는 바로 그 핵심을 찾는 독서법으로 연간 700권의 책을 읽는 서평가가 되었다.

물론 그렇게 핵심을 담은 문장 하나만이 아닌 여러 덩어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가 말했듯 책을 아무리 정독해도 한 달 정도가 지나면 기억은 대부분 소멸하고 핵심적인 몇몇 개념들이 남게 된다.

물론 글을 쓰게 되면 더 많은 문장들이나 개념들이 생각나겠지만 장담하지는 못한다.

나의 경우 서평을 충분히 길고 상세하게 써서 블로그에 게시한 후 자주 들여다본다. 하지만 이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다.

생각해 보면 읽은 책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나는 지금도 연간 읽은 권수에 집착한다.

집착이라기보다 의미를 둔다고 할 수도 있다. 무엇이라 하든 지양해야 할 일임은 분명하다. 때로는 책의 한 두 구절이나 한 챕터만을 읽고도 의미 있는 글을 쓸 수 있다.

수준이 문제이지 양은 그간의 독서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것이다. 끊임 없는 읽기와 쓰기를 하려면 시간을 아끼는 수 밖에 없다.

책 한 권을 다 읽는 독서는 무리한 일이다.

깊이 읽고 통째 읽고 몇번 반복해 읽어야 할 때가 있는데 그런 경우는 그리 흔하지 않다. 세상에 읽을 책은 많고 시간은 제한적이다. 갈 길이 먼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코발트그린 2017-02-14 18: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음.. 옛 책들은 글씨가 크고 책이 얇은데 권 수를 직접 비교하면 너무 힘들지 않을까요? ㅎㅎ

벤투의스케치북 2017-02-14 18: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네... 그런 점도 있지요... 관건은 정진하는 자세이고 필요한 부분만 취하는 효율성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1만권 독서는 본문에 언급된 일본인 저자가 읽은 권수입니다.^^

코발트그린 2017-02-14 2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 ㅎ 효율성을 챙겨야 하는 건 격하게 공감 합니다. 좋은 책들 무지하게 쏟아지는데 시간은 부족하니까요 ㅎ

벤투의스케치북 2017-02-15 07:5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