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권 교수의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를 통해 거듭 확인한 사실은 명나라의 제후의 나라를 자처한 조선의 실상이다.

조선은 과학 특히 천문에서도 그 주의(主義; 명나라의 제후국 자처)에 걸맞게 천자만이 하늘을 독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조선이 얼마나 사대적이었는지는 이덕일 소장의 ’시원하게 나를 죽여라‘의 1부인 ’중화라는 이름의 감옥을 깨다‘라는 제목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이은선 교수는 ’다른 유교 다른 기독교‘에서 경직되기 이전의 유교의 정수(精髓)를 살피자고 말한다.

맞는 말이지만 유교의 정수를 오늘 우리에게 유용한 자산으로 활용할 여지가 있을까 싶다.

어떻든 조선 초기만 해도 유교는 국가 이데올로기로 정립되기 전이어서 조선 중기 이후처럼 과도한 교조성을 띠지 않았다.(이한우 지음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115 페이지)

김일권 교수의 책을 읽고 나니 궁금한 점이 생긴다. 다재다능한 세종이 천문학에 어떤 정도의 관심과 지식을 가졌는가, 이다.

세종대의 천문학자들은 그들의 관측과 계산을 바탕으로 자주적 역법을 확립했다.(국립 문화재 연구소 엮음 ’문화유산에 숨겨진 과학의 비밀‘ 59 페이지)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어떤가.

이는 1392년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가 천명(天命) 사상을 만들어 새 국가 건설의 명분을 퍼뜨리려던 중 고구려 성좌도 탁본을 보고 뛸 듯이 기뻐하며 이를 돌에 새길 것을 명해 만들어진 석각(石刻) 천문도이다.(박석재 지음 ’하늘을 잊은 하늘의 자손‘ 21 페이지)

물론 박석재 교수에 의하면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별자리들은 4신(神) 즉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일 뿐이다.

사신도는 하늘의 방향과 별자리를 지칭하는 것에서 출발한 것이란 김일권 교수의 말(’고구려 별자리와 신화‘ 104 페이지)이 생각난다.

박석재 교수는 천문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세종대왕은 성군 중에서도 성군이었다고 말한다.(’하늘을 잊은 하늘의 자손‘ 32 페이지)

박석재 교수에 의하면 세종대왕의 가장 큰 골칫거리는 중국 사신의 방문이었다고 한다.

사신 일행이 경복궁 안에 설치된 천문관측 기구를 보고 감히 중국 천자나 할 수 있는 일을 조선이라는 작은 나라에서 하고 있다며 시비를 걸어올까 염려해 실제로 중국 사신이 오면 그 기구들을 모두 숨겼다고 한다.(’하늘을 잊은 하늘의 자손‘ 35 페이지)

조선 중기 이후 유학의 모습과 너무 대조적이다.

하늘을 잊은 하늘의 자손은 지금 우리 이전에 조선 중기 이후 교조적이고 자폐적인 성리학 이데올로기를 고수한 성리학자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