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 목요일(1월 12일) 예정된 시험 때문에 읽고 싶은 책을 읽지 못하고 있다. 시험이 역사와 문화 분야의 것이기에 틈을 내 수험서에 나오는 사안을 내 관심사와 연결지을 수 있다는 점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교재에 수록된 남산한옥마을이란 항목에서 모탕고사란 말을 만났다. 집을 짓기 위해 나무 다듬기를 시작했음을 천지신명께 알리는 의식이다.

우리 민족은 한옥을, 신이 사는 공간 또는 신 자체로 보았다. 모탕고사 이후 상량(上梁) 고사를 지내 신의 탄생을 기뻐하기도 했다.

요한 호이징하는 ‘호모 루덴스‘에서 아갈마(agalma)를 이야기했다. 환희와 기쁨 등을 의미하는 단어로 종교적 의미로 사용되는 독일어 프롤로켄(frohlocken)과 대등하게 쓰이는 말이다.

명사로는 장식, 내보이는 물건, 귀한 물건 등을 뜻한다. 밤의 아갈마는 별들을 시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입상, 신상(神像)도 아갈마가 의미는 중요한 개념이다.

호이징하가 아갈마란 단어로 의도한 것은 기뻐하며 제물을 바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호이징하의 사례는 우리의 모탕고사와 상량고사 등은 어떤 것일까? 하는 호기심을 갖게 한다.

물론 축제(祝祭)를 축하의 제사를 의미하는, 일본식 단어로 규정, 비판한 이오덕 선생님이 생각나기도 한다.

정신분석에서는 아갈마를 외모 안에 감추어진, 사랑하게 하는 무엇, 그리고 손에 넣을 수 없는 보물 등으로 설명한다.

잘 알려졌듯 호이징하는 ‘호모 루덴스‘란 책에서 정신과 손이 가장 자유롭게 움직이는 분야에서 놀이 기능이 특히 작용한다고 지적하며 놀이 요소는 도제(徒弟)가 장인

시험에 제출하는 작품 또는 장인이 우두머리가 되기 위해 조합에 제출하는 작품, 기술이나 능력을 걸고 내기하기 위해 내놓는 작품 등에서 뚜럿하게 드러났다고 덧붙였다.

이제 1월 19일 치러야 하는 시연(試演)에서 우리도 놀이(유희)성을 발휘하는 시나리오를 짤 수 있을까?

호이징하는 ‘문화사의 과제‘란 책에서 역사적 미문학(美文學) 즉 본질은 문학이며 역사는 단순한 액세서리에 불과한 분야를 설명하며 이를 자칭 역사인 체하는 학문으로 정의했다.

호이징하는 우리의 힘은 한계가 있지만 역사는 그렇지 않음을 새삼 느껴야 한다고 전제하며 역사가를 객관적 진리라는 이상에 자기 마음의

눈을 더욱 단단하게 붙들어 맬 수 있는 존재로 정의했다.(역사가 아닌 역사가를 보아야 한다는 말을 알게 해준 이**선생님께 감사를...)

시험 공부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