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고 있는 책들이 많지 않아도 나름의 방식으로 서가는 가득 차게 된다. 그러면 눕혀 두거나 상자에 담아 두는 등의 비일상적인 방법으로 책을 보관하게 된다.

그러다가 한 뭉터기를 솎아낸다. 뇌세포가 잘려나가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하지만 읽은 책이든 읽히지 못한 채 버려지는 책이든 그 자체가 기억은 아니다.

읽지 않은 책은 말할 것도 없고 읽은 책이라 해도 하나의 통합된 이야기로 엮여 기존 지식의 집에 합류되지 않는 이상 그냥 종이들이거나 글자들일 뿐이다.

솎여지는 책은 차라리 몸과 뇌의 세포들이라 해야 옳다. 인간은 ‘24시간마다 모든 세포가 대체되는 췌장, 열흘만에 전면 갱신되는 백혈구, 한달만에 대부분의 단백질이 교체되는 뇌 등 복잡한 사건의 집합‘이다(송희식 지음 ‘존재로부터의 해방‘ 71 페이지)

그럼에도 몇 달 전의 나를 변함없이 나라 부르는 것은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한 존재의 정체성과 관련되는 기억을 넓게 보면 생명체가 생명을 이어가는 것도 포함된다.(이정우 지음 ‘영혼론 입문‘ 67, 69 페이지)

이번에 정리한 장르는 일부 건강 및 심리학, 소설 등의 책들이고 비정상적으로 보관되다가 서가에 꽂힌 책들은 역사, 건축, 예술 등의 책들이다. 내 관심을 반영하는 일이다.

언제까지라고 기약할 수 없지만 앞으로는 시, 시비평, 역사, 건축, 예술, 철학, 정신분석 등을 주로 읽게 될 것이다. 하나의 전기(轉機)로 기록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