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에게도 있을 수 있는 일이겠지만 우리나라도 아닌 중국, 그 가운데서도 수천 년 전에 존재했던 주(周)나라가 친근(?)하게 느껴지는 것은 기이합니다. ‘주역(周易)‘을 배울 때 접한 이야기이지만 주 나라 이전에 있었던 은(殷)에도 역(易)이 있었다고 하지요. 은은 귀신의 나라, 주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나라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조선이 주나라에 지대한 관심을 기울인 것일까요? 주나라는 주역 말고도 성리학으로도 21세기의 우리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잘 알려졌듯 정도전은 ‘주례(周禮)’라는 텍스트에 근거해 경복궁을 영건(營建)했다고 하지요.
그 원칙 가운데 하나가 좌묘우사(左廟右社)이지요. 그런데 최근 출간된 장인용의 ‘주나라와 조선’에 의하면 좌묘우사는 수적으로 밀리는 주나라가 다수의 은나라의 유민을 다스리기 위한 차원에서 낙읍에 주나라 조상의 묘당(廟堂)과 은나라의 묘당을 함께 설치한 데서 유래한 것이라고 합니다. 가령 노(魯)나라에서는 굳이 은나라의 조상을 받들 일이 없었으므로 묘당이 하나였다고 합니다. 이는 춘추전국시대의 대부분의 나라들이 취한 방식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조선은 은나라에 대한 주나라의 법식(法式)을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두 개의 묘당을 설치했습니다.
물론 우리 실정에 맞게 받아들인 것이라 할 수 있겠지만 조선이 존주사대(存周事大)를 외친 것을 감안하면 우리 실정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주나라를 신앙 차원으로 수용한 결과가 아닐지요? ‘주나라와 조선’은 좌묘우사 말고도 종가(宗家) 및 제사 제도, 호주상속제, 성씨제도, 족보, 과부재가 금지법, 열녀문, 서얼 차별 등 주나라에서 유래한 것들이 조선을 옥죄었다고 주장합니다. 물론 이것들이 주나라에서 직접 연원한 것인지 아니면 주나라에서 발원하여 그 이후로도 이어지며 성리학의 나라 송나라를 통해 강화되어 우리에게 전해진 것인지는 면밀히 따져보아야 할 것입니다.
종법(宗法) 시행은 남자와 장남 중심의 사회구조를 초래했고 여자들의 삶을 집안의 가사노동에 한정하고 청상수절을 강요했지요. 서얼들도 차별받았지요. 경복궁의 주산(主山)을 어디로 할 것인지를 두고 정도전과 무학 대사가 대립했지요. 무학 대사는 북악산(백악산) 불가론을 내세웠습니다. 좌청룡에 해당하는 낙산이 허약하다는 이유였는데 풍수에서 좌청룡은 아들 특히 장자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반면 우백호는 차남 이하의 아들과 여자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정도전과 무학 대사의 대립 과정에서 백악 주산에 대한 보완책으로 낙산의 끝자락에 장자의 허약한 기운을 채우기 위해 어질 인(仁)자를 넣은 흥인지문을 설립했고 관악산의 불기운을 잠재우기 위해 광화문 앞에 불을 막고 잡기운을 쫓는 해태상을 만든 것이라지요. 그리고 북한산의 살기(殺氣)는 경복궁 내에 아미산을 세워 한북정맥의 정기로 바꿔 이어받게 한 것이라지요. 앞서 우리가 두 개의 묘당을 가진 것을 말했는데 정도전과 무학 대사의 대립의 결과 생긴 보완책들과 두 개의 묘당까지 볼거리가 늘어난 것으로 말한다면 철없는 일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