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예상하지 못한 결과이다. 물론 몇 해 전 일련의 건축 책들을 읽었으니 이번 관심은 생소한 것이 아니다. 과거의 관심이 공간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지금의 관심은 궁궐(宮闕) 공부에서 시작된 공부가 발전한 결과이다. 물론 궁궐에 대해서든 건축에 대해서든 지금 내 공부는 모두 소략(疏略: 꼼꼼하지 못하고 거칢, 엉성함)하기만 하다.

건축을 의미하는 영어 architecture는 으뜸, 처음, 근원 등을 의미하는 아치(arch)와 기술이나 학문을 의미하는 tect가 결합한 말이라고 한다. 그러니 건축은 최고의 학문이란 말이 가능하다. 최고의 학문을, 산을 오를 때 자세를 낮추는 입산위하(入山爲下)의 마음으로 대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내 관심은 언제든 건축 철학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갈 능성이 있다.

건축학 박사/ 철학 박사인 브랑코 미트로비치는 ‘건축을 위한 철학‘에서 이런 말을 했다. 본래 철학이 건축을 닮으려 한 것이지 건축이 철학을 닮으려고 한 것은 아니라는... 그는 건축 철학이나 건축미학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건축은 철학과 미학이 탐구하는 바를 이미 그 안에 품고 있다는 말을 한다. 지금 건축학 교수 임기택이란 분의 ‘생성의 철학과 건축이론‘을 읽고 있는데 미트로비치의 말을 수용한다면 철학적 시각으로 건축을 보는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 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들뢰즈와 니체, 라이프니츠와 스피노자, 흄과 베르그손, 그리고 노자(老子) 등의 철학을 건축의 시각으로 보는 저자의 시각은 신선하게 느껴진다. 이는 내가 쉽게 매혹되는 영혼이어서만은 아니다. 철학자 박영욱의 ‘필로아키텍처‘를 필두로 해 숨은 그림을 찾는 것이 될 내 건축 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