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광화문 촛불 집회(100만 촛불 항쟁)에 실업, 여혐, 차별 등으로 분노한 청년과 여성들이 ‘저항’의 중심에 섰다는 글(경향신문)이 눈에 띈다. 꽤 오래 페미니즘의 흐름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입장이지만 참 많이 반가운 현실이다. 책세상 문고로 나온 페미니즘 이론서 가운데 이현재 님의 ‘여성의 정체성 - 어떤 여성이 될 것인가’, 김미경 님의 ‘여성주의적 유토피아, 그 대안적 미래’ 등을 읽은 것이 10년 쯤 전이니 이제 다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어제는 여성 혐오 셀프 테스트를 받았다. 11개의 항목들 중 나는 10개에 걸쳐 ‘좋아요’란 평가를 받았다. ‘좋아요’ 평가를 받지 못한 단 하나의 항목은 남편도 아내의 집안일을 잘 도와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란 물음이다. ‘그렇다‘를 선택했지만 답은 집안일은 한 집안 사람들이 같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일(이니 당연히 남자도 함께 해야 할 것)이라는 점이다. 흥미로운 것은 ‘혹시 그럴 필요가 없어 아니오를 선택한 것은 아니겠지요?’란 물음이다.


성폭력과 성차별 문제는 더 중요한 사회문제를 먼저 해결한 뒤 다루어도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나는 ‘아니오’를 택했다. 앞에서 언급한 이현재 님의 책은 주요 페미니즘 이론가들의 사상을 일별(一瞥)한 책이어서 내게 큰 도움이 된 책이다. 최근 이 분이 쓴 ‘여성 혐오, 그 이후’란 책이 나왔다. 150여 페이지의 얇은 책이지만 여성 혐오, 비체(卑體) 등의 개념들이 다루어진 의미 있는 책이어서 바로 구입했다.(150 페이지는 책세상 문고보다 얇은 분량이다.) 현대적 흐름을 알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이와 함께 ‘정신분석’과 ‘페미니즘’의 관계가 정리된 ‘페미니스트 정신분석이론가들’(임옥희, 신주진 외 지음)도 읽어야겠다고 생각한다. “정신분석은 페미니즘에 살모충동을 느끼고, 페미니즘은 정신분석학에 살부충동을 느끼면서도 두 이론이 서로 협상하고 공모하면서 얻어내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란 책 소개 글에 눈이 번쩍 뜨인다.(이 책은 지금 읽고 있는 스테판 츠바이크의 ‘프로이트를 위하여’와 함께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