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우연히 우울한 소식을 두 가지나 접했다. 하나는 시에 관한 소식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에 관한 소식이다. 시와 역사라는 말을 듣고 어쩌면 마음 속에 담아두었던 말을 꺼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어떻든 시에 관한 소식은 유형진 시인이 쓴 '현대시학 10월호를 보며 드는 심정'이란 글을 통해 접한 것이고, 역사에 관한 소식은 경향신문에 실린 '역사 과잉의 시대, 어느 젊은 역사학자의 죽음'이란 글을 통해 접한 것이다.
우선 말하고 싶은 것은 시와 역사의 관계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는 역사보다 더 철학적이라는 말을 했다.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과거의 일만이 아닌 있을 수 있는 일까지 그려내는 시의 미덕을 보고 한 말이다. 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시인 추방론을 주장한 플라톤에 비해 유연한 사람이란 생각을 한다. 그러나 시가 그렇게 있을 수 있는 일까지 그려낸다면 역사는 해야 할 바를 일깨우기에 나는 역사는 시보다 사회적이란 말을 하고 싶다.
서론이 길었으니 각설(却說)하고 말하자면 시인의 수와 내 삶이 연관이 있지는 않지만 착잡한 마음마저 든다는 말을 우선 하고 싶다. 나는 시인들의 가난과 그들의 수적 포화가 연관이 있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난감한 마음이 든다. 두 이야기라 했으나 시의 필자는 엄연히 당당한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반면 역사 이야기의 당사자는 글의 제목을 보고 알 수 있듯 이 세상 사람이 아니다.
시 이야기의 필자인 유형진 시인은 출간 5년만에 첫 시집인 '피터 래빗 저격사건'(2005년 5월 출간)을 재쇄(再刷)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렇게 어렵게 재쇄한 책이 거의 재고로 남아 처치곤란한 애물단지가 되어 그 시집을 절판시키고 복간을 하고 싶어 다른 출판사에 문의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가 확인한 사실은 재고를 모두 떠안고 출판권을 정지시켜야 절판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시인은 자신이 아는 시인은 기껏 50여명이고, 가지고 있는 시집은 300여권이란 말을 하며 그 많은 7만명이나 되는 시인들의 시집은 다 어디에 있는 걸까요?란 질문을 던졌다. 시인은 최근 문제가 된 남성 시인들의 성추행(또는 폭력)에 관해 심경을 밝힌 글이기도 한 '현대시학 10월호를 보며 드는 생각'이란 글에서 성추행 당사자 중 한 명이 낸 힛트 시집과 자신의 시집이 같은 출판사를 통해 같은 날 나왔으나 분명하게 엇갈린 길(명성, 판매 등에서)을 걷게 되었다는 말을 했다.
내가 주목하는 부분은 신춘문예 투고자들은 그 남자 시인의 문체나 시어를 따르고 추종했고 문단의 원로들은 그를 극찬했다는 부분이다. 시인의 도덕성을 문제삼은 글은 이미 한 번 썼기에 생략하고 말하면 우리의 쏠림을 돌아보고 싶다는 말을 하고 싶다. 이는 유형진 시인의 다음의 말과도 관계있다. "저는 제 시가 '여장남자 시코쿠'에 실린 시들보다 못하다고는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지만...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벤치에서 불러주기만 기다리는 대기 선수 취급 받은 것은) 오랫동안 조금 억울하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승자독식을 만들어주는 쏠림은 새삼스러울 것이 없지만 그렇기에 더 지양해야 하지 않을까, 란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런 반면 역사학도의 죽음에 대한 글은 더 딱한 사정을 전한다. 41세에 뇌출혈로 세상을 뜬 고구려사(高句麗史) 박사인 그는 연구가 아닌 과중한 행정업무에 시달리는 등 매일 야근을 해도 시간이 모자랐다고 한다. 그는 재계약을 걱정해야 하는 계약직 연구자였다. 기자는 지금 우리 시대를 연구자들에게 '왜 우리나라에 유리한 역사를 쓰지 않느냐'고 질책하는 시대로 정의했다.
왜 우리나라에 유리한 역사를 쓰지 않느냐는 말은 한 국회의원이 실제 한 말이다. 나는 시에 관한 글에 대해서는 나 역시 명성에 휩쓸리지는 않았는지 반성하고, 역사과잉이 역사학자의 죽음을 불렀다는 글에 대해서는 공감한다. 덧붙일 것은 우리가 너무 역사를 재미에 치우쳐 대하고 있지는 않는지 의심을 품는다는 점이다. 내게는 두 개의 날개 같은 시와 역사! 문외한이기에 누구보다 바람직한 습관을 들일 수 있을 것이고 또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해설사를 꿈꾸는 사람인 나에게 시인과 계약직 연구자가 겪은 일 모두 남의 일 같지 않다. 고난(苦難) 과잉(過剩)의 시대라 말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