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어제 저와 인연이 있는 출판사(서초구 강남대로)에 다녀왔습니다. 이 출판사 저 출판에서 소개해주기를 바라고 가져온 100권은 넘을 책들 가운데 마음대로 골라갈 수 있는 상황에서 저는 17권을 들고 왔습니다. 택배로라면 30권은 더 넘게 골랐을 텐데 무게감을 느끼고 싶어 들고 왔습니다. “내 청춘은 내 집 하나 넓히지 못하고 전투도 못 하고 몇 수레의 책들과 함께 지나갔다”는 강규 작가의 말을 떠올리며... 전철 안에서 70세 정도로 보이시는 분이 제가 들고 있는 니체 책을 보시더니 언제 나온 책이냐 물어 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산에 다녀오시는 길이라는 그 분은 몇 년 전 등산 중 실족해 머리를 다쳐 혼수 상태로 며칠을 지내신 끝에 겨우 회복되어 지금은 약간의 후유증만이 있을 뿐 생활에 큰 무리는 없다고 하시더군요.

 

b) 제가 들고 있는 책이 50년 전 실존주의 철학과 니체, 하이데거 등을 읽느라 치른 그 분의 고투(苦鬪)와 환희(歡喜)를 추억하게 한 것 같습니다. 대화는 그분의 아직은 완전하지 않은(어쩌면 쇠퇴해가는 것이라 해야 옳을지도 모를) 기억 때문에 몇 군데 빈 곳이 있는 철학 개념들과 철학자들에 대한 말을 그 분이 던지고 제가 그것을 수리(修理)하듯 마무리하는 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 분은 양재 시민의 숲 역에서 출발해 양재에서 환승한 저와 종로 3가까지 동행하며 대화를 나누다 정이 드셨는지 헤어지는 순간 성(姓)이라도 알고 싶다고 하시며 악수를 청하셨습니다. 답으로 건강하세요란 말씀을 드린 저는 그 분이 저에게 멋있다고 하시기에 제가 그런 면을 가지고 있어서 그럴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c) 하지만 그보다는 제가 대화 상대를 해드림으로써 그 연배로서는 드물게 철학 이야기를 하실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분 스스로 자긍심을 느끼셔서 그런 말씀을 하신 것이 아니었을까, 란 생각을 했습니다. 실존주의에 카뮈를 포함시켜도 될까요? 란 제 말에 그 분은 그렇다고 답하셨습니다. “유명한 가난과 질병에의 위험”, “우아한 태도와 진지함, 자기의 속사정을 겉에 나타내지 않는 특징적인 수줍음과 어느 그룹에서나 어느새 자타가 공인하는 지도자로 군림하는 ‘대장기질'의 설득력”이란 김화영 교수의 카뮈론(論)을 기억했습니다. 집에 돌아와 이 글을 다시 들추어 보며 어느 부분은 저와 비슷하고 어느 부분은 거리가 있고, 어느 부분은 닮고 싶고 어느 부분은 그러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제게는 특별한 시간인 2016년 10월 15일은 그렇게 사라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