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미 시인의 시집 '보라의 바깥'을 읽고 있었다. 표제작인 '보라의 바깥'은 이런 시이다. "눈 마주쳤을 때/ 너는 거기 없었다// 물렁한 어둠을 헤집어 사라진 얼굴을 찾는 동안, 고개를/ 돌리는 곳마다 시선의 알갱이들이 쏟아진다 산산이 뿌려진/ 눈빛들이 나를 통과하여 사라져갔다..." 고흐의 '실편백나무가 있는 별이 빛나는 밤'을 프로필 사진으로 삼은 한 알라디너가 친구신청을 했다. 거칠게 말하면 '보라의 바깥' 은 감수성 갑(甲)인 젊은 시인의 색채감각이 빛나는 시들이 만개한 시집이다.
시인은 '푸른 꼬리의 소년' 에서 "너의 오른쪽 안구에선 난초향이 나"란 한국 록 그룹 로로스의 노래 가사를 인용한다. '메스칼린'에서 시인은 "둘러보니 온통 색으로 얼룩진 소리, 소리들 사방으로 흐/ 르는 거대한 팔레트 속이었다 나는 색에 흠뻑 절여진 음계/ 들을 훔쳐 유리컵 밖으로 도망한다..."고 말한다. 감각적 구체적으로 말하면 공감각적이다.
고흐는 공감각을 얻기 위해 압생트를 즐겼을까? 아니 공감각은 압생트의 우연한 효과였는지도 모른다. 조용미 시인은 '압생트'란 시에서 "...고흐는 단지 찬란한 노란색을 얻기 위해 매일 압생트를/ 마셨던 것은 아니다 그토록 노란 높은 음에 도달하기 위해/ 서라면 스스로를 조금 속일 필요가 있었던 것, 그는 노란/ 색을 완전 장악했던 걸까 노란색의 심연에 도달하기 위/ 해서는 압생트가 아니라 고독과 광기의 섬세함과 난폭함이/ 고루 필요했다...."는 말을 한다.
노란 높은 음이란 말을 주목하자. 고흐의 '실편백나무가 있는 별이 빛나는 밤'은 영감과 경외감으로 빛나는 그림이다. 이 그림은 고흐가 생레미 정신요양원에 스스로 들어간 후 그린 그림들 중 하나이다.(1889년 6월) 귀를 자른 후에 그린 작품이다.
철학자 시인 진은영은 '고흐'란 시에서 "왼쪽 귓속에서 온 세상의 개들이 짖었기 때문에/ 동생 테오가 물어뜯기며 비명을 질렀기 때문에/ 나는 귀를 잘라버렸다...."는 말을 한다. 설득력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이어지는 "...한 개의 귀만 남았을 때/ 들을 수 있었다/ 밤하늘에 얼마나 별이 빛나고/ 사이프러스 나무 위로 색깔들이 얼마나 메아리치는지...."란 표현은 절실하다.
이에 비해 조르주 바타유는 고흐가 태양을 위해 귀를 잘라 바친 것으로 해석한다. 귀를 자르는 자기파괴가 신성한 신이자 태양이라는 이상을 모방함으로써 그것과 자신을 동일시하려는 시도였다는 것이다.
나는 태양과 귀절단을 연결지은 바타유의 논리보다 진은영 시인의 논리에 마음이 간다. 귀를 자름으로써 고흐는 (결과적으로) 역동하는 밤하늘과 색깔들을 이해할 수 있었으리라. "....꽃잎처럼 터지는 기/ 포들을 따라 내 속에 거처하던 색들도 먼 길을 떠나"('메스칼린' 마지막 부분)간다고 말한 시인의 심경이 이해가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