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시즌이 돌아왔다. 정확하게 말해 수상 개시일이 며칠 남은 지금 문학상 수상 유력 후보에 대한 말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문학 부문에서는 일본의 하루키가 1순위에 오른 듯 하다.하지만 내 관심은 물리학상을 향하고 있다. 현재 왕성하게 활동하는 물리학자들을 알지 못하지만 여성 과학자가 그 상을 수상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강하다. 노벨 과학상을 수상한 여성은 두 명(세 차례)이다. 1903년 마리 퀴리가 물리학상을 남편 및 앙리 베크렐과 공동 수상했고, 1911년 역시 마리 퀴리가 화학상을 수상했다. 1935년 그의 딸 아일린 졸리오 퀴리가 화학상을 수상했다. 내가 이름을 들어 알고 있는 여성 과학자는 두 명 정도이다. 리사 랜들과 내터 배철 등이다. 내가 읽은 그들의 책은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이것이 힉스다' (이상 리사 랜들) 정도이다.

 

천국과 신 등의 비과학적(?) 말들이 들어 있는 책들이지만 상당히 엄격한 책들인 것은 분명하다. 우리의 우주를 가속팽창을 막는데 필요한 체중이 미달하는 곳으로 표현한 배철은 시적이기까지 하다. 사르트르는 문학상 수상을 거부하며 노벨상 수상 이력이 자신의 순수한 문학적 능력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는 취지의 말을 한 바 있다. 작품 자체만을 진중히 검토하고 구매하기에 현대인들은 너무 바빠 작가의 지명도, 목차, 표지 등을 주된 선택 요인들로 삼는다. 그래서 이름에 비해 수준이 떨어지는 작품, 제목이 좋은 작품, 표지가 예쁘거나 인상적인 책들이 선택되는경우가 많다. 이해가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 씁쓸하다. 문학 작품에 비해 그럴 가능성이 낮은 과학 책들을 많이 읽어야겠다. 왠만한 문학작품들보다 유려하고, 상투적인 문제의식에 사로잡힌 종교책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철학적인 과학 책들을 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벤투의스케치북 2016-10-01 18: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글에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의 번역자인 이강영 교수께서 “노벨 과학상 여성 수상자는 그보다 많습니다. 물리 2명 (다른 한사람은 마리아 괴펠트 메이어) 화학 4명 (마리 퀴리는 중복) 의학생리학상 10명입니다. 2009년에는 2명이 같이 생리학상을 받았습니다.”란 댓글을 달아주셨다. 지적에 따라 글을 고쳐야 하지만 글의 요지가 여성 과학자가 노벨 물리, 화학 등의 상을 수상하기를 바란다는 것이기에 그대로 두기로 했다. 이 교수의 지적을 그대로 반영하더라도 여성 과학자가 노벨상을 수상한 비율은 10%에 미치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