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는 삶을 위한 일 년 - 삶이 이야기가 되는 365일 글쓰기 수업
수전 티베르기앵 지음, 김성훈 옮김 / 책세상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수전 티베르기앵은 쉰 살이 되어서야 작가로서의 삶을 시작한 분이다. 그녀는 글쓰기는 결국 습관이라 말한다. 우리는 지속적인 독서와 성찰을 통해 영감을 얻는다. '글쓰는 삶을 위한 일 년'은 쉰 살에 처음 글쓰기 워크숍에 참가해 역시 예순에 처음 가르치는 일을 시작한 에이미 클램피트를 만나 하게 된 15년 동안의 교육 경험에서 12개의 강의를 선별한 책이다. 저자는 뉴턴이 말한 '거인의 어꺠'를 염두에 두고 우리는 기존 작품의 어깨를 딛고 글쓰기의 세계에 들어온다는 말을 한다.(뉴턴은 자신이 더 멀리 보았다면 그것은 거인의 어깨 위에 섰기 때문이라는 말을 했다.)
12개의 강의는 각각 다른 영역의 글쓰기들로 채워졌다. 첫 순서는 가장 자연스런 글쓰기인 일기 쓰기이다. 그 밖에 퍼스널 에세이 쓰기, 오피니언 에세이 쓰기와 여행 에세이 쓰기, 단편소설과 초단편 소설 쓰기, 꿈을 글로 옮기기, 시적 산문과 산문시 쓰기 등이 있고 눈길을 끄는 것은 상상의 연금술이란 챕터이다. 저자는 카를 구스타프 융 센터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명심할 것은 저자가 쉰 살 이전에도 다양한 글과 기사, 일기 등을 썼다는 점이다. 그러면 그런 글들과 작가로서 쓰는 글은 어떻게 다른가?
저자는 자신이 작가가 되고 싶어한다는 것을 깨닫고 나자 자신 안의 우물이 신선한 창조성으로 가득 차올랐다고 말한다, 연금술이란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상상의 연금술은 더욱 깊숙한 글쓰기의 세계로 가는 길을 제시한다. 글을 잘 쓰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일기 쓰기는 훌륭한 연습 거리가 된다. 물론 매일 거르지 않고 쓸 필요는 없다. 일기 쓰기에서 중요한 점은 거침 없이 써내려가는 것이다. 쓰고 나서 고칠 시간은 얼마든지 있다. 에세이는 몽테뉴로부터 시작되었다. 귀족 출신의 은퇴한 변호사였던 그는 바쁘게 살기 위해 에세이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소재도 형식도 가리지 않았다.
당연히 에세이도 다듬기와 묵혀두었다가 고쳐 쓰기가 필요하다. 저자는 에세이를 퍼스널 에세이와 오피니언 에세이로 나눈다. 오피니언 에세이는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어 바꾸어 놓는다. 마음을 사로잡는 것에 관해서라면 여행 에세이도 독자들로부터 비슷한 기대를 받는 장르이다. 소설 쓰기를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저자는 일기는 논픽션 뿐 아니라 픽션을 위해서도 모판 역할을 한다고 귀띔한다. 문장에서 주어와 동사가 필수이듯 소설에서는 등장 인물과 행동이 필수적이다. 소설이 매력의 대상인 것은 그것이 독자의 마음 속에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생생한 꿈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저자는 단편 소설 공부를 할 때 헤밍웨이와 플래너리 오코너의 소설을 분해해 작동 방식을 이해하려 했음을 밝힌다.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는 '꿈을 글로 옮기기'이다. 꿈은 "완전히 새로운 내면의 세상으로 들어가는 문을 열어준다." 꿈을 어떻게 생각하든 그것이 풍부한 이야기거리임은 부정할 수 없다. 시적 산문과 산문시 쓰기편에서 저자는 시적 산문이란 말은 모순적으로 들리지만 그 둘은 생각보다 훨씬 가까운 사이라고 설명한다.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9장 ‘상상의 연금술‘이다.
연금술이란 단어는 변함없이 신비롭게 들린다. 연금술이 뜻하는 것은 자신의 꿈, 기억, 환경 속에서 생생한 이미지를 찾아 그것을 글로 연결하는 것이다. 11장은 고쳐쓰기이다. 마크 트웨인은 올바른 단어와 거의 올바른 단어의 차이는 번개와 반딧불의 차이와 같다는 말을 했다. 트웨인의 말은 괜찮은 것은 참으로 좋은 것의 적(敵)이란 말(’한글 세대를 위한 불교‘ 94 페이지)을 생각하게 한다. 이 말은 불교학자 에드워드 콘즈의 말이다. 고쳐쓰기는 장르에 관계 없이 모든 글쓰기에 적용된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저절로 유려하게 글이 써지는 것은 거의 기적 같은 일이라 말했다. ’집으로 향하는 글쓰기’란 마지막 장은 눈길을 끈다. 존재의 미로 속으로 들어가 그 중심에서 자신의 진정한 집을 찾는 것에 대한 장이다. 신비, 영감, 창조성에 훈련과 성찰을 더할 것을 강조하는 저자의 책은 실제적 도움을 주는 유려한 가르침이다. 하지만 하나의 책에 너무 많은 장르의 글을 담은 것은 아쉽다. 저자가 어떤 책들을 읽었고 문학 외의 장르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상술되지 않은 점과 함께 아쉬움으로 지적되어야 옳다. 물론 열정이 넘치는 저자가 정성을 다해 쓴 진실한 책임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