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낙타는 십리 밖 물 냄새를 맡는다
허만하 지음 / 최측의농간 / 2016년 8월
평점 :
허만하 시인의 ‘낙타는 십리 밖 물 냄새를 맡는다’는 아득한 시의 길을 조용히 생각하겠다는, 창조적 정신의 불씨를 지키는 새로운 사색이 필요하다는, 시의 결을 가지는 문체에 이를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등의 말로 치열한 준비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시인의 근황을 말하는 책이다. 저자는 시를 존재와 언어 사이의 틈을 메우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목을 통해 알 수 있듯 저자는 시인을 그렇게 섬세한 감각을 가진 낙타에 비유한다.
저자는 풍경은 체험과 무관하지 않기에 길을 떠나면 자신의 내면도 하나의 풍경이 된다고 말한다. 저자는 시인을 삶의 풍경을 가장 멀리 보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낙타는 섬세한 동물이고 사막을 건너는 강인한 동물이다. 시인 저자도 시를, 그리고 산문을 건져올리기 위해 길을 가고 또 간다. 저자는 하나의 풍경이 나의 체험이 되고 나의 체험이 하나의 풍경이 되는 일순(一瞬)을 말한다.
시인이 울주군 서생면에 속한 진하(鎭下)라는 해변을 이야기하는 대목에서 나는 내 서생 시절을 떠올린다. 서생면 신암리, 간절곶에서 가까운 그 바다. 동해남부선이 지나는 마을. 그곳에서의 시간들을 추억하는 나... 견자(見者)의 그 랭보, 보는 것을 배우고 있다는 ‘말테의 수기’의 릴케. 보는 것을 배워야 한다고 말한 ‘우상의 황혼’의 니체 등을 이야기하며 시인은 본다는 것의 남다름을 이야기한다.
시인에게 그런 새롭고 독창적인 시각이 필요한 것은 자명한 일이다. ‘낙타는 십리 밖 냄새를 맡는다’는 기행 산문집이기도 하다. 로마 기행에서 시인은 릴케의 ‘로마의 분수’라는 시를 떠올린다. 그리고 오대산 월정사를 찾아서는 수직성이란 평면에 굴복하지 않고 일어서는 실존이란 말을 한 메를로 퐁티를 생각한다. 시인은 릴케가 본 세잔보다 메를로 퐁티가 읽은 세잔에 더 끌린다고 말한다. 시인은 메를로 퐁티의 릴케 읽기는 피나는 사색의 결과로 본다.
시인은 꽃이 시를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씨가 꽃을 위해 있다는 존 러스킨의 말에서 단서를 얻어 시인이 언어라는 그릇을 빌려 어떤 내용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가 시인의 표현을 빌려서 스스로를 전개한다는 표현을 한다. 시인은 시를 우리의 논리의 손가락 사이를 새어나가는 모래에 비유한다. 시인은 지구는 푸르다고 말한 러시아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의 말과 그 이전에 상상력으로 지구를 푸른 것으로 본 폴 엘뤼아르라는 시인의 말을 소개한다.
상상력은 중요하다. 시인 역시 상상력으로 미술품들을 바라본다. 시인은 시에서 산문적 의미만을 찾지 말 것을 말한다. 시인이 즐겨 이야기하는 철학자가 메를로 퐁티라면 주안점을 두어 이야기하는 시인은 릴케이다. 시인에 의하면 파스칼이 우주가 침묵을 속성으로 한다고 보았던 데 비해 릴케는 세계가 침묵이 아닌 노래라 생각했다. 시인은 언어의 본질은 현실 인식의 도구가 아닌 아름다움과 에로스를 만들어내는 존재라는 데리다의 인식에 매료되었다고 말한다.
저자는 고흐의 ‘감자를 먹고 있는 사람들’에 나오는 불꽃이, 시인은 빛의 유용한 원천이 아니라 빛을 남에게 베풀고 자신은 고독하다고 한 바슐라르의 논의와 아름답게 호응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시인은 시론에 강하다. 시인에 의하면 자신은 시란 무엇인가란 물음보다 자신은 시의 근거를 어디에 두는가란 물음을 선호한다고 한다. 시 창작이란 수많은 시론들을 생각한 뒤에라야 효과적이고 매끄러울 수 있는 작업이라는 생각을 시인을 보며 하게 된다. 시인은 자신의 시의 근거를 죽음을 향한 생의 일회성에 두고 싶다고 말한다.
‘낙타는 십리 밖 냄새를 맡는다’는 저자가 시, 서, 화, 도자기 등의 예술에 고른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게 하는 책이다. 시인은 그림은 시가 그렇듯 수수께끼의 심연이라 설명한다. 릴케는 세잔의 그림에서 사물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을 요구하는 긴 인내를 배웠다고 한다. 소중하고 가치 있는 것을 만나게 되더라도 그것을 알아볼 지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자신과는 무관한 것이 되고 말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메를로 퐁티의 릴케 읽기는 피나는 사색의 결과라는 말을 음미하지 않을 수 없는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