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로 보는 미국사 - 아메리칸 시티, 혁신과 투쟁의 연대기
박진빈 지음 / 책세상 / 2016년 6월
평점 :
필라델피아, 시카고, 로스앤젤레스, 애틀랜타, 세인트루이스, 앨커트래즈, 워싱턴 DC, 뉴욕 등 미국의 주요 도시들을 다룬 ‘도시로 보는 미국사’는 도시를 혁신과 투쟁의 공간, 인간과 상호 작용을 통해 항상 변화해가는 혁신의 공간으로 본 책이다. 혁신과 투쟁의 공간이라는 말이 제시되었지만 젠트리피케이션을 보며 투쟁, 정확하게는 폭력이 문제가 되는 메커니즘을 해명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박진빈 교수의 책은 시의적절하다 하겠다.
저자는 20세기 초 미국 연방정부 임대 주택 정책의 역사를 다룬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필로그에 소개된 바대로 미국의 주요 도시들은 개발을 위한 개발을 되풀이하고 있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중심지가 되었다. 뤼도빅 루블레르가 ‘달라이 라마와 히치하이킹을’에서 중국을 전역에 걸쳐 낙후된 지역을 일사불란하게 철거하고 그 자리에 현대식 건물을 짓는 미친 속도의 나라라 정의한 것을 생각하게 하는 대목이다.
책을 좋아해 도서관을 자주 찾는 나는 도서관이 문화 컨텐츠의 관점이 아닌 토건(土建)적 관점에서 보아야 할 곳이란 말을 듣고 잠시 혼란스러웠던 기억을 가지고 있다. 딱 적당한 만큼의 초록이라는 의미의 just green enough란 말이 있다. 중도란 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첫 도시로 설정된 필라델피아는 상징적이다. 우애의 도시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필라델피아는 그에 걸맞게 이질적인 이민자들로 홍역을 앓는 곳이 되었다. 균형을 잃은 결정이지만 국민 투표로 브렉시트를 감행하게 된 영국의 사례를 생각할 만한 부분이다.
필라델피아는 가장 부패한 자족적인 도시로 불렸다. 책은 필라델피아의 자구책을 보여준다. 저자는 필라델피아가 초기 이민자의 증가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많은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1876년 100주년 기념 박람회를 통해 주변 도시의 급성장으로 인해 서서히 잃어가던 전국적 관심을 되찾아 역사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새로이 정립한 것에 그친 것을 작은 관심이 부족한 결과로 본다. 대도시의 우울한 미래를 예고하는 것이다. 시카고 역시 갈등을 빼놓을 수 없다. 흑백갈등이다.
도시는 갈등과 투쟁, 문제해결의 반복으로 점철된 공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2차 대전 특수(特需) 속에서 급성장한 애틀랜타도 문제의 도시라는 점에서는 예외가 아니다. 애틀랜타는 인종 통합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막을 수 없었던 백인들이 대도시 외곽에 대대적인 주거지 개발이라는 교외화(郊外化)로 맞섰다. 세인트루이스는 애틀랜타와 반대로 문제를 안았다. 팽창 도시로서 애틀랜타가 홍역을 치루었다면 세인트루이스는 공장이 버려지고 주택이 새 주인을 찾지 못하는 현상 등으로 낙후(落後) 일로를 걸었다.
모든 도시가 팽창할 수 없음을 생각하면 너무 당연한 사실이다. 공동화(空洞化)가 현안(懸案)이 된 것이다. 물론 공동화의 대안은 재개발이다. 1970, 80대년 당시 세인트루이스는 전체 인구는 감소하는 가운데 흑인 인구는 증가했다는 점에서 남다르다. 나쁜 것은 흑인 인구가 증가했음에도 흑인 분리가 심화되었다는 점이다. 그 지역에서 흑인이 얼마나 빠져나가야 정상적인 인구 분포 수준이 되는가, 란 지수가 설정된 결과이다. 저자는 말한다. 오늘날 미국 도시들에서 확인되는 인종 분리의 정도는 인종 분리가 완화되고 인종간 평등화가 진행되었을 것이란 세간의 믿음을 배반한다고.
“여전히 흑인 게토가 있고 백인들의 교외가 있으며 도심지 슬럼은 빈민 혹은 최하위 계층의 전유물이다. 문제는 이와 같은 분리가 단지 인종과 인종을 구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영구화하는 일종의 사회 구조가 되어버렸다는 것이다.”(181 페이지) 미국의 역사는 정복(을 위한 학살)과 무단점거의 역사이다. 이는 이와사부로 코소의 관점으로 누구나 공감할 주지의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이와사부로의 주장이다. 그는 도시를 거리의 꿈틀거림, 웅성거림, 시끌벅적함을 통해 춤을 추는, 움직이는 신체 즉 유체(流體)로 본다.
‘도시로 보는 미국사’는 용산 참사를 보며, 파괴적 결과라는 점에서 그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도시의 무분별한 상업화를 보며 죽어가는 도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우리 나라에도 시사적인 책이다. 1964년 독일 출신의 영국 사회학자 루스 글라스가 런던 시내에서 노동자 계급의 거주지에 중산층이 유입되면서 기존 거주자들인 노동자들이 밀려나는 현상을 보고 붙인 젠트리피케이션은 역사가 꽤 긴 이름이다. 젠트리피케이션은 결국 도시 공간이 계급적으로 독점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인류학자이자 지리학자인 닐 스미스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시대에 젠트리피케이션을 주도하는 도시 정부의 특성을 네 가지로 정리한다. 도시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을 주도하는데 그 중 가장 결정적인 것은 젠트리피케이션에 저항하는 세력에 대한 극단적이고 폭력적인 공권력 행사를 포함한 철저한 불관용 정책이다.
저자는 어디서든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떠밀려 다니다가 결국 도시의 언저리로 내몰리는 사람들의 문제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저자가 진단했듯 상황은 대단히 어렵다. 인상적인 것은 마이클 카츠(Michael B. Katz)의 주장이다. ‘왜 미국 도시들은 불타지 않는가?’란 책에서 그는 그렇게 차별받고 빈곤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흑인들이 폭동을 일으키지 않는 이유를 설득력 있게 제시했다.
20세기 내내 인종 분리가 진행된 결과 흑인들이 분노를 쏟아 부을 백인이 존재하지 않아 흑인들 서로 분노의 총구를 겨눈다는 것이다. 또한 2차 세계대전 이후 소비주의가 맹신되는 탓에 사회 구조의 변화를 위한 투쟁에의 의지가 약화되었기 때문이라는 점도 카츠의 주장 중 하나이다. 군대화한 경찰이 마약과의 전쟁을 구실로 사소한 마약 관련 범죄에 연루된 흑인을 대규모로 투옥하는 등의 이유로 불을 지를 만큼의 정치화할 기회조차 갖지 못했다는 지적도 빼놓을 수 없다.
마이클 카츠는 혹시 우리가 그동안 도시의 실패를 이야기하는 데 너무 애쓴 것은 아닌지, 실패 담론에 가려진 성공한 공공 임대주택의 예들이나 연방의 결정에 의존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사적 재원을 구축해 도시 주택 문제에 접근한 예들을 언급한다. 저자의 책을 읽고 다시 한 번 (우선 순위에서 밀려나 있던) 신자유주의의 뿌리나 현재를 다룬 책들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희망의 증거들을 찾아야겠다는 생각도 했다. 데이비드 하비의 ‘반란의 도시’ 이후 최신 흐름을 반영한 ‘도시로 보는 미국사’는 그 만큼 의미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