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리스(Martin Rees)는 ‘여섯 개의 수’에서 천문학을 거대과학으로 규정했다. 이는 천문학이 크고 값비싼 장비를 필요로 하는 학문이라는 데서 나온 말이다. 고재현은 ‘어떻게 과학을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어’에서 물리학과에 입학할 당시에는 사물의 근본적인 이치를 밝히는 학문인 물리를 먼저 공부한 후 천문학으로 이어가겠다는 포부를 가졌으나 입학 후 치른 첫 시험에서 자신은 110점 만점에 60도 정도를 받았는데 소수이지만 만점자가 몇 명 나온 것을 보고 ‘천재는 따로 있구나, 나의 사고는 지극히 평범한 수준이구나’ 라고 생각하고 이론 물리학이나 천문학이 아닌 고체 물질을 다루는 실험물리학으로 나아가게 되었다는 말을 했다. 참고할 부분이 많은 내용들이다. 


천문학자들이 크고 값비싼 장비를 필요로 하는 만큼 아마추어들이 별을 관측하는 데도 전문 장비들이 필요할 것이다. 지질학과 지구물리학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지질학은 지구의 물리적 구조, 과정, 역사에 초점을 맞추고 지구물리학은 물리학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지구를 연구한다. 지질학은 현장 조사를 많이 하고 암석과 지층을 지도로 만들고 해석한다. 지구물리학은 현장 작업보다 데이터 분석, 모델링, 컴퓨터 기반 작업을 주로 한다. 나는 얀 잘라시에비치의 ‘지질학‘과 윌리엄 로리의 ’지구 물리학‘을 모두 읽었지만 그 차이를 생각하지는 못했다. 


’지질학‘에서 안 사실 중 하나가 outcrop과 exposure의 차이다. 전자는 일반적인 노두를 의미하고 후자는 특별한 (조사에 쓸만한) 노두를 의미한다는 사실이다. ’지구 물리학‘에서 안 사실 중 하나가 지구 내부의 열은 지각의 암석과 맨틀의 방사능에 의해 발생하는 열과 지구가 생길 때부터 있던 열로 나뉜다는 사실이다. 


내가 지질학과 지구물리학의 차이에 관심을 둘 필요는 없다. 다만 어떤 학문에서든 필요한 부분을 유용하게 찾아내 쓰면 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별을 빛나게 하는 연료에서 나온 핵폐기물로 우리 각자는 우리 은하에 퍼져 있는 수천 개의 서로 다른 별에서 유래한 원자를 가지고 있다는 물리학자 마틴 리스의 말을 호상철광층과 연결해 서술하려는 프로젝트는 잠시 뒤로 미루어야겠다. LIP(large igneous province)에 대해 서술해야 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