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전쯤 나온 이은희의 ‘엄마 생물학’은 세 아이의 엄마인 저자 자신의 임신, 출산 경험을 하나의 기둥으로 삼아 논문과 책의 정보와 융화시켜 쓴 책이(라고 한)다. ‘그 책을 읽으면 어떤 생생함과 재미를 느낄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읽을 책이 많아 후일을 기약한다. 하라하라라는 필명으로 유명한 그의 책 가운데 내가 읽은 것은 ‘하리하라의 눈 이야기‘ 단 한 권이니 언젠가 그의 다른 책을 읽기로 한다면 흥미진진할 것으로 기대되는 ’엄마 생물학‘이 1순위이다.
안과전문의인 이창목의 ’내 눈이 우주입니다’도 읽고 생물학 전공자인 이은희의 ‘하라하라의 눈 이야기’와 비교해보고 싶다. 눈에 대한 책과 지구과학 책에 모두 나오는 인물이 영국의 물리학자 로드 레일리(Lord Rayleigh; 1842 - 1919)다. 그는 지진의 표면파, 레일리 산란(散亂) 현상을 발견한 인물이다. 이 부분에서 생각나는 글이 “과거에 소리와 색은 비교 불가능한 대상이었지만 파동(波動)의 개념이 확립되면서 소리와 색은 파동의 상이한 종류로 파악되기 시작했다. 이질적 존재들이 기저 공간에서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이런 공통의 척도가 요청된다.”란 글(이정우 지음 ‘인간의 얼굴‘ 289 페이지)이다.지진파도 파(波)고 레일리 산란 역시 파(波)인 빛의 산란이다.
물리학자 서민아 교수의 ‘빛이 매혹이 될 때’에서도 로드 레일리 이야기가 나오는지 알아보기 위해 몇 년만에 책을 다시 뒤졌지만 아직 찾지 못했다. 대신(?) ‘양자화(量子化)된 세계의 단면을 떠올리게 하는 그랜드 캐니언’이란 내용을 만났다.
저자는 콜로라도 강의 급류가 깎아낸 불연속적 계단 모양이 양자화된 세계의 단면을 떠올리게 하지만 너무 험준해 인간의 발길을 쉽게 허락하지 않을 듯 하고 그곳을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는 존재는 빛이 유일하지 않을까?란 말을 한다. 그랜드 캐니언에 가고 싶지만 역시 책으로 대신해야 하리라. 양승훈의 ‘그랜드 캐니언 정말 노아 홍수 때 생겼을까?‘를 마저 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