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가 기후 위기랑 무슨 상관이야 - 안전한 내일을 위한 어린이 환경 교과서, 2023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정지윤 지음, 조천호 감수 / 파란의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탄소가 기후 위기랑 무슨 상관이야‘는 어린이를 위한 책이지만 어른들도 읽을 만한 책이다. 아니 어른들이 더 읽어야 할 책이다. 푸른 하늘, 산 등과 함께 그림을 그리며 사는 정지윤이란 분이 대기과학자 조천호 저술가의 감수를 받아 내용을 구성하고 그림까지 그렸다. 이 책은 한 마디로 기후 위기와 탄소의 강력한 연관성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공기 구성 요소들 중 0.04%에 지나지 않지만 지구의 급소를 때리는 온실가스는 종류에 따라 수십 년에서 수천 년 동안 공기 중에 남아 누적된 채로 미래 세대에게 넘겨진다. 지구 평균 기온이 1.5도 오르면 생기는 본격 기후 위기가 2030년대에 일어날 것이라고 한다. 2050년대에는 우리를 파국에 이르게 하는 2도 온도 상승이 전망되고 있다. 중요한 점은 미래 기후는 인간이 하기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이다.

 

지구 온도는 매일 아침, 저녁으로 바뀌는 날씨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 전역의 계절을 평균해 구하는 온도를 말한다. 기후란 날마다 변하는 날씨들의 정보를 30년 넘게 모아 평균을 낸 수치다. 매일 변화하는 기온, 강수, 바람 등의 정보를 평균하는 것이다. 빙하기 때부터 지구 온도가 5도 오르는 데 1만년이 걸렸으니 평균 2천년에 1도가 오른 셈이다. 그런데 지금은 1도 오르는 데 170년이 걸렸다. 170년이란 산업혁명부터 지금까지를 말한다. 기후 차이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은 지구의 둥근 모양이다. 이 때문에 태양 열을 골고루 받지 못한다. 넘치거나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태풍은 이런 불균형을 해소하는 다양한 활동들 가운데 하나다. 태풍의 풍이 바람이란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바람이 큰 역할을 한다.

 

지구는 추운 곳은 덜 춥게, 더운 곳은 덜 덥게 해서 균형을 맞추고 있다. 문제는 너무 빠르게 오르는 온도다.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조절 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다. 제트 기류란 것이 있다. 적도의 뜨거운 공기와 북극의 차가운 공기가 만나는 부분에 생기는 바람층을 말한다. 좁은 지역에서 부는 쏘는 듯한 강한 바람으로 두 공기를 잘 섞어 공기가 잘 흐르게 해준다. 그런데 지금 북극과 남극의 온도 차이가 줄어 제트기류가 힘을 쓰지 못한다. 그 결과 여름은 더 더워지고 겨울은 더 추워졌다. 제트 기류가 힘을 쓰지 못해 북극의 찬 공기의 하강을 막지 못하고 있다. 물론 북극이 뜨거워졌지만 여전히 북극은 지구에서 가장 추운 곳 중 하나다.

 

북극의 하얀 빙하는 햇빛을 반사해 지구 온도 상승을 막는다. 이에 비례해 어두운 빛을 내는 바다가 넓어져 햇빛을 더 많이 흡수한다. 바다도 물이니까 뜨거워지면 부피가 늘어나 해수면이 올라간다. 바닷물은 뜨거워지면서 수증기를 많이 발생시킨다. 비를 부린 수증기는 주변으로 이동하고 점점 차가워지면서 아래로 내려간다. 공기가 내려가기만 하니까 비를 내릴 구름을 만들 수 없어 가뭄이 들기도 한다. 문제의 근원은 탄소, 아니 탄소를 집중적으로 내보내는 우리다. 탄소는 누구하고나 쉽게 친해지는 성질 때문에 어디에나 있다. 모든 생명체의 몸 속에 탄소가 있다. 산소, 질소, 아르곤, 온실 가스 등으로 이루어진 공기층을 알 필요가 있다. 빠져나가는 열의 일부를 막아 지구를 너무 뜨겁지 않게 해 살기 좋게 해주는 것이다.

 

이산화탄소는 석탄과 석유에서 만들어진 탄소로 구성된 대표적 온실가스다. 온실가스 때문에 열이 빠져나가지 못해 온도가 높은 것이다. 지금껏 늘어나는 탄소를 흡수해주던 바다도 그 능력에 한계에 이르고 있다. 대륙 이동, 운석 충돌, 거대 화산 폭발 등은 기후를 급격히 변하게 하는 요인들이다. 지금의 급격한 온도 변화는 인류의 책임이다. 플라스틱 병을 만드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생긴다. 최초의 석유를 높은 열로 가열해 플라스틱 원료를 분리해 내는 과정에서다. 높은 열로 가열하려고 석탄이나 석유를 태우기 때문이다. 이 병들을 차로 나르는 중에 탄소가 나온다. 방방곡곡 실어나른 플라스틱 병을 냉장 보관하는 중에 온실가스가 생긴다. 우리는 이런 병을 너무 쉽게 버린다. 이것이 바로 플라스틱 병이 만드는 탄소 발자국이다. 발자국이란 이동 경로를 말하는 듯 하다.

 

우리가 탄소를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지금의 세상을 당장 바꾸기는 어렵다. 햇살이나 바람 등으로 에너지를 만들고 전기 자동차도 만들어 사용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탄소를 흡수하는 산림이나 갯벌을 잘 가꾸어야 한다. 석탄을 태워 만드는 과정에서 탄소를 내보내는 전기를 아껴쓰는 것도 방법이다. 고기를 적게 먹는 것도 중요하다. 쓰레기 분리배출을 잘 하는 것도 필요하다. 아나바다 운동은 변함없이 중요하다. 목표는 탄소중립이다. 탄소 배출과 흡수 사이의 균형을 말한다. 자기 집에 불이 난 것처럼 재빨리 행동하라는 스웨덴의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의 말을 귀담아 들어야 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