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해류 - 진화의 최전선 갈라파고스에서 발견한 생명의 경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최재천 감수 / 은행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미 북서부에 자리한 에콰도르에서 1000 km 떨어진 갈라파고스 제도(諸島). 해저화산의 폭발로 태평양에 갑자기 나타난 신천지(265 페이지)인 이 섬들은 1535년 남미 잉카로 파견되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표착(漂着)한 스페인의 전도사 프라이 토마스 데 베를랑가에 의해 발견되었다. 300년간 잊힌 섬이었던 갈라파고스가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다윈에 의해서다.

 

판구조론으로 형성을 설명(134 페이지)할 수 있는 갈라파고스 제도는 다윈이 진화론의 영감을 얻은 곳으로 유명하다. 그런데 저자는 “다윈의 고향이라 불리는 갈라파고스는 사실은 가장 다윈적이지 않은 곳”이라고 말한다.(209 페이지) 저자에 의하면 이름이 있는 섬이 총 123개이고 주요 섬만 해도 13개나 되며 크고 작은 다양한 섬과 암초들이 산재하는 군도(9 페이지)인 갈라파고스의 생태계가 기묘하게 보이는 것은 그곳이 한없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그것은 무작위의 변이와 자연도태의 압력만으로 진화를 설명할 수 있는 다윈주의와는 상당히 다르다. 다윈은 30세 무렵 유전형질(본능적 형질)과 획득형질(개체가 학습에 의해 얻은 형질로 그 한 대에 국한되는 형질)을 명확하게 구별했다. 이런 혜안은 진화론적 고찰로 이어졌다.(258 페이지) 독립 직후의 에콰도르가 영유권을 선언한 것은 1832년이었고 스물 여섯의 다윈이 비글호에 동선(同船)해 갈라파고스에 닿은 것은 1835년이었다.

 

에콰도르가 점령을 선언하기 전까지 갈라파고스는 해적선이나 포경선의 정박지였다.(225 페이지) 땅거북이란 의미의 갈라파고스 제도가 형성된 것은 구대륙에 비하면 최근인 수백만년전이다.(202 페이지) 1830년 콜롬비아로부터 독립한 에콰도르는 정치범, 파산자, 부랑아 등을 절해의 불모지인 갈라파고스에 이민단으로 보냈다. 무역상 비야밀의 아이디어에 의해서였다.

 

후쿠오카 신이치의‘생명해류’는 아사히 출판사의 제의를 받고 다윈이 들르지 않았던 산타크루스섬을 기점으로 여행을 시작해 플로레아나섬 - 이사벨라섬 - 볼리바르 해협 - 산티아고섬으로 이루어진 다윈의 여행 코스를 그대로 따른 뒤 쓴 관찰 및 탐사 기록이다. 다윈이 처음 갈라파고스를 접했던 원점으로 돌아가 그가 보았던 피시스(생명의 본 모습, 본래의 자연)를 확인하고 싶었던(24 페이지) 후쿠오카에게 아사히 출판사의 제안은 너무도 큰 선물이었다.

 

저자는 피시스의 전체상은 로고스의 틀 밖으로 밀려나기 쉽다고 말한다. 로고스는 인간의 뇌가 세상을 잘라내어 선분을 긋고 논리를 추출하여 편의대로 구축한 정돈된 인공물이다.(102 페이지) 저자는 자신이 홀로 갈라파고스에 간다면 자비(自費)와 노력으로 어떻게든 꿈을 이룰 수 있겠지만 그러면 아무리 노력해도 관광여행 이상은 될 수 없다고 생각했었다.

 

저자의 핵심 주제는 동적 평형이다. 이는 다양한 것들이 유입되고 그것들이 한때 ‘나’의 몸을 형성하지만 지체 없이 흘러나가는, 흐름 속에 존재하는 생명을 표현하는 말이다. 저자는 절해의 고도는 저 먼바다 한가운데에 고립된 땅처럼 보이지만 끊임없이 생명을 받아들이고 키워낸다고 말한다.(176 페이지)

 

저자는 네이처 가이드에게 바위의 이름을 물어 그가 단지 지역 이름을 대자 ”맘대로“ 갈라파고스 생명의 자유자재로움을 상징하는 동적평형 바위라 명명하기도 했다.(246 페이지) 동적평형이란 말은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지구의 판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다. ”갈라파고스 제도는 지구의 동적평형 위에서 위태로운 균형을 잡으려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지리학적으로도, 생물학적으로도 움직임의 한복판에 있다.“(139 페이지)

 

동적 평형과 함께 거론할 수 있는 저자의 개념이 이타성이다.(71 페이지) 이 개념으로 대단히 넓은 마음의 소유자인 식물, 미생물을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만큼만 영양분을 만들거나 자신이 생산한 암모니아를 독점하지 않고 언제나 조금 더 많이 활동하여 그것을 다른 생명에게 나누어준다. ”여유가 있는 곳에 이타성이 생기고 이타성이 생기면 그때 비로소 공생이 시작된다. 이타성은 돌고 돌아 자신에게 돌아온다.“(204, 205 페이지)

 

당연히 일정에는 많은 사람이 함께 했다. 여행 일기의 필자인 후쿠오카 신이치 박사, 마벨호의 선장 에두아르도 코셸료, 마벨호 부선장 프란시스코 산틸란, 만능 일꾼인 마벨호 선원 훌리오 모레타, 현지 가이드 오스왈드 차피, 마벨호의 요리사 조지 아빌레스, 통역사 도리이 이치요시, 야생 전문 사진작가 아베 유스케 등이다.

 

대부분이 국립공원인 갈라파고스는 자연보호 차원에 따라 들어갈 수 있는 곳과 들어갈 수 없는 곳이 엄밀히 정해져 있다. 아무리 전세를 낸 배라고 해도 반드시 현지 가이드가 동행해야 하며 가이드의 관리를 받으며 관찰하거나 행동해야 한다.(81 페이지) 갈라파고스의 자연물은 생물이든 무생물이든 섬 밖으로의 반출은 엄금이며 섬에서 섬으로의 이동도 금지되어 있다. 신발이나 바지에 붙은 모래는 깨끗이 털어내야 하고 샘플도 현미경 관찰이나 촬영 후에는 모두 제자리에 돌려놓아야 한다.

 

화산 열도로 생성된 갈라파고스 제도 대부분은 용암지대이고 적은 강수량이나마 용암의 벌어진 틈으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담수가 고여 있는 곳이 거의 없다. 물론 하천도 없고 연못도 없다. 물이 고여 있는 곳은 바닷물 또는 바닷물이 증발해서 생긴 염호(鹽湖)다. 이 때문에 인간은 오랫동안 갈라파고스에 발을 들여놓을 수 없었다.

 

갈라파고스는 해저 화산 분화로 생긴 용암 섬이지만 섬마다 모습은 전혀 다르다. 섬의 나이에 따라 차이가 생긴 것이다. 저자는 지구의 판들을 땅거북의 등껍질 같다고 표현했다. 갈라파고스의 땅거북은 멸종했다가 유네스코의 노력에 힘입어 복원되었다. 그들은 1년 동안 물이나 먹이를 주지 않아도 알아서 살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문제는 남획된 이유다. 고기가 맛있고 체내에 대사수(代謝水)가 있어 유사시 담수의 공급원이었기 때문이다. 바다가 너무도 넓어 땅거북이나 이구아나 같은 파충류의 천국이었던 갈라파고스의 땅거북들은 이주민들이 데리고 온 염소, 돼지 때문에 또 한 번 수난을 당했다. 염소는 땅거북들의 먹이인 풀을 먹었고 돼지는 땅거북들의 알을 먹었다.

 

저자는 갈라파고스는 생명 진화의 현장이고 지금도 엄연히 발전하고 있는 곳, 막다른 길이 아니라 최첨단인 곳이라 설명한다.(201, 202 페이지)‘생명해류’의 장점 중 하나는 불확실 하던 다윈 진화론을 명확하게 짚은 데 있다. 저자에 의하면 다윈주의는 오로지 생식세포의 유전자에 우연히 생긴 돌연변이가 세대에서 세대로 유전되는데 그 안에서 생존에 유용한 것만이 자연선택 된다는 것이다.(167 페이지)

 

저자는 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에 의하면 흙은 사실 모래 알갱이가 아니라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유기물 입자다. 그러므로 흙은 살아 있다. 미생물은 공기 중의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암모니아는 아미노산의 재료이고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재료이다.(203 페이지)

 

미스테리는 대륙에서 1000km 떨어진 갈라파고스에 어떻게 헤엄도 치지 못하는 땅거북이 옮겨갔을까, 이다. 천연 뗏목 가설이 주목된다. 갈라파고스 제도의 해역은 풍부한 수산자원을 품고 있다. 그곳으로 한류가 흘러들어온다. 한류가 흘러들어오는 까닭에 더욱 풍성한 바다가 된디. 얼핏 이해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유가 있다. 태평양 쪽에서 갈라파고스 제도로 오는 적도잠류는 차갑기 때문에 수심이 깊은 부분으로 흘러들어간다. 이것이 갈라파고스 제도의 해저에 있는 해분(海盆)에 부딪혀 상승으로 솟구친다.

 

이 때문에 바다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대량의 유기물의 염류가 표층으로 끌어올려진다. 이것이 표층부에 서식하는 플랑크톤이나 해조류의 중요한 영양소가 된다. 플랑크톤이나 해조류는 어패류와 해양생물의 식량이 된다. 어패류는 새, 바다사자, 물개들의 적절한 양식이 된다.(226 페이지)

 

저자는 에콰도르가 갈라파고스 제도를 영유하게 됨으로써 그곳을 구미 제국으로부터 지켜내 자연환경과 생태계의 보고(寶庫)로 만들 수 있었다고 말한다. 다윈이 동선(同船)한 비글호는 자연 조사와 해도 측량을 기치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군함이다.(116 페이지) 에콰도르가 갈라파고스를 점령하지 않았다면 아마도 영국이 그곳을 자국 영토화했을 것이다.

 

탐욕스러운 구미 열강은 갈라파고스가 거의 미개한 땅이라는 이유로 학술연구라는 미명 아래 조사단을 잇따라 파견했다.(144 페이지) 저자는 생태적 지위를 이렇게 설명한다. 그것은 개체가 스스로 생존을 찾는 장소이자 번식을 위한 공간이라고.(267 페이지) 갈라파고스는 넉넉한 생태적 지위를 갖는 곳이다. ‘생명해류’는 인문적 마인드와 생명 사랑으로 빛나는 분자생물학자인 저자가 ”혼신을 다해“(51 페이지) 쓴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역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