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원의 시간 속으로 - 지구의 숨겨진 시간을 찾아가는 한 지질학자의 사색과 기록
윌리엄 글래슬리 지음, 이지민 옮김, 좌용주 감수 / 더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윌리엄 글래슬리의 ‘근원의 시간 속으로’는 서정(抒情)과 서사(敍事) 또는 감흥과 객관의 절묘한 결합을 느끼게 하는 책이다. 저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캠퍼스의 지질학자이자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교의 명예 연구가다. 대륙의 기원과 진화, 그것들을 활성화시키는 과정 등을 연구한다. 저자 윌리엄 글래슬리, 구조지질학자 카이 쇠렌센, 구조지질학자로 지구화학과 광물학에도 조예가 깊은 존 코르스트고르가 한 팀을 이루었다. 무대는 그린란드다.

 

이곳은 지의류가 넘쳐난다.(99 페이지). 끝없이 펼쳐진 광활한 야생 중 하나인 그린란드는 국토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덮인 곳이기도 하다.(25 페이지) 세 사람의 탐사는 카이와 존이 암석을 읽는 과정에서 근본적인 실수를 저질렀다는 논문이 발단이 되었다. 그들은 탐사를 통해 논란 또는 분란을 잠재울 자료를 수집하고자 했다. 과학은 골치 아픈 분야라고 말하는 저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정보는 현실을 단순화한 것으로 결점이 내재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74 페이지)는 설명을 덧붙인다.

 

저자에 의하면 그렇기에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은 부단한 수정이 필요하다. 출간된 논문 또한 완벽할 수 없다. 모든 과학자는 다른 이들이 자신의 논문을 보완할 거라고 기대한다. 문제는 발전을 위한 지적 정도가 아닌 의도적 묵살(默殺)이다. 자신들의 논문에 대한 비난에 가까운 논문을 접한 세 사람은 격한 감정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하지만 그들은 암석에 대해 정말 잘 아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전문 용어들에 실어 자신들의 생각을 표했다.

 

책은 흥미진진하다. 기반암이 무엇인지 같은 기본적인 사안은 물론 지질학 자체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정의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반암이란 토양이나 굳지 않은 퇴적물 아래에 자리한 단단한 암반이다. 저자가 풍경의 뼈대나 다름없다고 보는 기반암은 그곳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고 바람에게 길을 안내한다. 저자는 기반암의 골조라는 말도 한다.(109 페이지) 조류(潮流)의 흐름은 기반암에 의해 제약을 받고 빙하는 기반암 위에 얹혀 있다. 기반암 결정 구조 안에 들어 있는 물은 기반암이 해저의 진흙에 불과했을 때부터 그곳에 있었다.(148 페이지)

 

그러면 지질학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지질학을 드라마가 가득한 분야가 아니라고 정의한다. 암석은 무심하게 답사를 기다릴 뿐이며 꼼꼼히 들여다봐야만 점진적인 변화가 담긴, 지루할 정도로 더딘 단서를 천천히 제공한다. 하지만 관점이 뒤바뀌고 새로운 가설이 등장하며 학계를 깜짝 놀라게 만드는 일이 일어나기도 한다.(68, 69 페이지)

 

이 말은 지질공원해설의 위상을 숙고하도록 이끈다. 참으로 더딘 지질의 변화를 어떻게 감지해야 할까? 지질공원 해설이란 지질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고학과 생태학, 역사를 포괄하여 지질공원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그럼 저자는 더딘 지질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일까? 그는 대지의 중추에 담긴, 멈춘 적은 없지만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느리게 작동하는 역동성에 매료되었다고 말한다.(41 페이지)

 

과학에 바탕한 말이지만 시적으로도 들릴 만큼 인상적인 말을 하나 보자. 그것은 “지구의 대기는 지구가 호흡한 산물이며 해양과 강의 구성요소는 생명이 신진대사 활동을 벌인 결과”(18 페이지)란 말이다. 이 말은 “우리는 순전히 학문 연구로서 과학적 흥미를 품고 있지만 우리가 겪은 경험은 신비에 가깝다.”란 말과도 어울린다. 저자는 우리가 야생을 잃으면 우주에서 정신의 중요성을 말해줄 수 있는 유일한 기준을 잃을 것이라 말한다.

 

‘근원의 시간 속으로’에는 저자의 다섯 차례에 걸친 그린란드 탐사 경험이 담겼다. 저자는 모든 것은 침식에 결국 자리를 내어주게 된다고 말한다.(65 페이지) 책에는 생소한 용어들도 많다. 봉합대(suture zone), 감람암(橄欖巖) 등이다. 봉합대는 충돌한 두 개의 대륙이 외과 수술에서 꿰매어진 것처럼 만난 지대를 말한다. 감람암은 현무암질의 용암을 만드는 근원암(89 페이지)으로 보통 퇴적물과 함께 산출되지 않는다.(95 페이지) 퇴적물에서는 석류석이 풍부한 암석이 생기기 마련으로 감람암과 석회석이 가까이 자리하려면 구조적으로 강렬한 힘이 필요하다. 이 암석들은 사라진 바다 가설을 지지할 증거다.

 

베개 현무암이란 말도 그렇다. 베개 용암이라는 말만을 들어온 입장에서는 흥미롭게 들린다. 전단대(剪斷帶; shear zone)도 그렇다. 지구 역사의 대부분을 지배한 것은 적막(寂寞)이라 정의하는(61 페이지) 저자는 자갈투성이 해변을 걷는 동안에는 첨벙거리는 파도 소리나 자신의 부츠가 내는 소리밖에 들리지 않는다고 말하며 그 시간은 자신이 그토록 원하던 야생의 고독 속을 홀로 걷는 시간이라 고백한다.(93 페이지)

 

원자와 분자는 한번 방출되면 무언가 새로운 것의 일부가 될 수밖에 없다.(98 페이지) 저자는 이끼에 대해 해박하지 않다. 정착 가능한 자리를 찾아 스스로를 그 안에 밀어넣는(53 페이지) 이끼를 이야기하며 저자는 다양한 형태의 지의류가 존재하지만 광물과 암석에만 단련된 자신의 눈은 몇 종류의 지의류만 식별할 수 있을 뿐이라 말한다.(99 페이지) 지의류는 1년에 0.85mm 정도 자라면 빨리 자라는 편에 속한다.(101 페이지) 1년에 0.025mm 정도 자라는 지의류도 있다.

 

저자는 전체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은 없으며 전체는 처음부터 우주의 모든 것이었다고 설명한다.(103 페이지) “기억에 저장된 과거가 풍부할수록 지금 이 순간과의 일치성이 더 강해지며 우리는 이 세상에 대해 더 잘 알게 된다.”(115, 116 페이지) 저자에 의하면 물은 암석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분해하기도 한다. 우리는 끊임없는 재구성의 과정 속에서 탄생했다.(117 페이지) 맞는 말이다. 그러니 이는 앞에서 인용한 “모든 것은 침식에 결국 자리를 내어주게 된다”(65 페이지)는 말과 어긋나는 듯 보인다.

 

저자가 바라보는 식물은 암석의 균열 부위와 틈에서 끈질기게 뿌리내리며 살아가는 존재다.(122 페이지) 지구 내부에 깊숙이 묻힌 채 수백 도로 달궈진 결과 재결정화가 이루어진 석회암은 대리암이 되었고 진흙과 모래는 녹색 편마암과 편암이 되었다.

 

저자가 지질학을 전공한 것은 우연이었다.(126 페이지) 서핑에 미쳐 해양학을 공부하게 된 저자는 생물학, 화학, 지질학, 물리학 중 하나를 전공한 뒤 집중 공부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질학을 선택했지만 별 다른 흥미를 느끼지 못하다가 “우리가 서 있는 곳은 6,500만년전 지하 15km에 위치했던 마그마의 방입니다.”란 교수의 말에 매료되어 지질학에 큰 흥미를 갖게 되었다.(127, 128 페이지) 저자는 새로운 것을 발견한다는 흥분이 앞서지만 그보다 더 선명한 감각은 우리가 그곳에 있다는 경이로움이라 말한다.(173 페이지)

 

대륙은 처음 형성될 때 맨틀에서 올라오는 다양한 마그마로부터 진화한다. 일부 마그마는 지각을 관통하여 성장하고 있던 대륙 표면 위로 용암의 형태로 분출하지만 아래로부터 올라와 대륙의 바닥을 만나게 되는 어떤 마그마들은 너무 점성이 높거나 무거워서 지각을 뚫지 못한다.(187, 188 페이지) 저자는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은 세상에 존재하는 윤곽의 희미한 형체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말한다.(190 페이지)

 

“새로운 지점을 살펴볼 때마다 또 다른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고 그것은 지질학적인 이야기에 살을 덧붙여줄 작은 통찰력을 제공한다.”(193 페이지) 이 문장의 핵심 어휘는 '지질학적인 이야기에 살을 덧붙여줄 작은 통찰력'이란 말이다. 나 또한 지질학적 이야기로부터 작은 통찰력을 길어올릴 수 있기를 바라며 책을 읽는다. 책 곳곳에 지구 역사를 헤아리게 하는 글, 그리하여 지질학자의 남다른 안목을 보여주기에 족한 글이 등장한다.

 

“수천 년 전 하늘에서 내려온 빗물이었던 빙벽은 동쪽으로 몇 백 킬로미터 이어져 있었다. 이 빙벽은 깊숙이 묻힌 상태에서 압축을 받은 뒤 재결정화 과정을 거쳤고 빙상의 거의 바닥까지 가라앉은 다음 기반암에서 암석의 파편을 떼어내 이들을 고운 가루로 분쇄했을 것이다. 그 후 1년에 몇 센티미터의 속도로 아주 천천히 융기해 이제 내 앞에 놓은 절벽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201 페이지)

 

그러고 보니 그린란드는 지구에서 가장 광활하고 끝없이 펼쳐진 야생 중 하나로 국토의 대부분이 얼음으로 덮여 있다는 부분(25 페이지)을 전해야겠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부분을 보자. ”빙하는 크레바스와 길게 갈라진 틈으로 부서지면서 다시 흘러내릴 준비를 하고 있었다.“는 내용이다. 이 글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말한 ‘마지못한 듯 떨어지는 물‘과 공자가 말한 ‘용감한 물‘을 연상하게 한다. 단순한 의인적 표현이라기보다 대조되는 담론 또는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 말이다.

 

2미터 높이의 노두(露頭)의 기단에 주름져 있는 암녹색과 황갈색의 두터운 이끼 덤불을 보며 저자는 자신이 진균학자였다면 천국에 있는 것이나 다름없겠지만 지질학자인 자신은 어리둥절해하며 그곳을 지나갈 뿐이라 말한다.(212 페이지) 물고기 사냥에 뇌가 연결되어 있다는 바다표범처럼 우리도 풍경이나 깨끗한 물, 하늘을 바라보는 저마다의 방식이 있다고 말하는 저자에 의하면 이는 생존과 관련된 진화론적인 지식에 기인한 방식으로 우리는 이처럼 내재된 지식과 교훈의 총체다.(215 페이지)

 

과학, 아니 사는 것의 패턴이라 할 내용이 ’야생의 대지와의 작별‘이란 장에 나온다. 이 지역 역사에 대한 상충된 해석은 해결되었지만 오랜 역사의 단서를 고려한 결과 새로운 복잡함이 드러난다는 말이다.(217 페이지) 자연의 과정을 분석적으로만 기술하는 것은 부적절한 방법이라는 말(222 페이지)을 기억하자. 우리의 생각과 꿈은 우리가 알고 보는 것들의 표면에서 반사된 것들이란 말(225 페이지)은 참 인상적이고 시적이다. 미래는 계속해서 뼈의 표면에서 탄생하고 있었다는 표현(162 페이지)과 함께 볼 부분이다.

 

”툰드라 표면에는 새의 뼈와 북극 여우의 두개골, 순록의 뿔이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진화론적 변화의 과정을 보여주는 이 증거는 우리가 가는 곳마다 새하얀 땅 위를 어두운 음영으로 장식하고 있었다.”(162 페이지) 야생을 잃으면 우주에서 정신의 중요성을 말해줄 수 있는 유일한 기준을 잃을 것이라 말한 저자는 마지막 부분에서 어떤 생각을 더할까? 야생은 추론하고 시를 짓고 아름다움을 만들어내는 우리의 능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우리 스스로 자유롭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유일한 문턱이다.(226 페이지)

 

“석류석 덩이가 손가락 끝에 단단하게 부딪히는 감촉을 느끼며 내 손길이 신성모독인 것만 같다고 생각했다”(92 페이지)는 저자는 자신이 서 있는 곳, 이토록 아름다운 모습과 결정이 따뜻한 태양빛을 받고 있는 이곳의 풍경은 너무도 광활해 또 다시 누군가의 손길이 닿거나 누군가 발견하게 될 확률이 극히 낮았다고 생각하며 그런 생각만으로도 이 헐벗은 암석이 그토록 아름답게 보일 수 있는지 정말 기이했다고 말한다.(92 페이지)

 

저자는 현미경을 통해 암석의 얇은 조각을 들여다보고 있으면 그 어떤 인간도 상상하지 못한 맨눈으로 본 적 없는 색상과 형태의 환상적인 기하학에 빠져들어 자기 인식은 사라지게 된다고 말한다.(228 페이지) 물론 단순히 연속적인 사건들을 표로 만든다고 역사가 재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광물이 언제 형성되고 조직이 언제 생기는지 그 연대를 알아내는 방법이 필요하다.(229 페이지) 그에 부합하는 광물로 저자가 제시하는 것은 저어콘이다. 복원력이 뛰어나고 지각의 중간층이나 깊은 층에 있는 암석이 경험하는 대부분의 온도와 압력에서 안정적이고 단단한 저어콘은 지질학적 시계다.(230 페이지) 저어콘에는 우라늄이 들어 있다. 우라늄은 일정 속도의 방사성 붕괴를 통해 납, 토륨, 헬륨으로 분해된다.

 

저자는 그을린 머리카락 냄새, 사막의 모래 냄새를 풍기는 (깨진) 암석에 대해 이야기한다.(97, 235 페이지) 이 암석은 적어도 지표 60km 아래에 묻혔던 존재다. 이 암석은 저자가 그토록 강조하는 야생의 진면모를 느끼게 하는 진객(珍客)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전문 영역의 책이지만 술술 읽힌다. 저자의 인문적 지향성과 뛰어난 글솜씨 덕이리라. 현장을 돌아본 살아 있는 여정이 가장 중요한 몫이라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면 저자가 섭섭해할까? 어떤 경우든 적극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