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뇌르 이야기와 관련해 기억하는 것은 루소와 보들레르의 차이다. 루소는 18세기 사람이고 보들레르는 19세기 사람이다. 보들레르는 루소보다 109년 후에 태어났다. 루소와 달리 보들레르에게 자연은 선하고 순수한 것이 아닌 악으로 더럽혀진 것이자 타락한 것이었다. 루소는 자연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맞는 말이지만 부분적으로만 맞다. 자연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말 자체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저 그렇게 자신을 드러내 보이는 자연을 단순한 향유의 대상으로 삼을 때 문제될 것은 없다. 하지만 파악하거나 이해하고자 할 때는 어려움이 따른다. '사이언스 블라인드(Science Blind)'의 부제가 '우리는 왜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가?'인 것을 보라. 가령 우리 중에 누가 과학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낮과 밤이 바뀌는 것'을 해가 뜨고 지기 때문이 아니라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빚어지는 것이라 생각하겠는가?

 

저자 앤드루 스톨먼에 의하면 우리의 직관적 이론들은 과학의 이해를 가로막는 장애물이다. 스톨먼이 말했듯 자기 성찰만으로는 불멸의 착각(인간은 죽지 않는다는 착각)을 깰 수 없다. 아이들은 인간의 필멸(必滅)의 운명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배워야 한다. 미국의 시인 에드나 세인트 빈센트 밀레이(Edna Saint Vincent Millay: 1892 - 1950)는 '어린 시절은 누구도 죽지 않는 왕국(Childhood is the kingdom where nobody dies)'이란 말로 아이들의 죽음관을 아름답게 표현했다.

 

정신의학 박사 에드윈 풀러 토리는 현생 사피언스가 갖춘 가장 획기적인 것은 자전적 기억이라는 말을 한다. 과거로부터 축적된 경험을 활용해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자신을 미래에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이다. 이는 이점이자 짐이었다. 자신의 죽음을 구체적으로 예상하게 됨에 따라 불안을 부산물로 가지게 되었기 때문이다.

 

'사이언스 블라인드'의 논리에 공감, 동의하는 나는 상식은 실제적 관점에서 사물을 보고 과학은 이론적 관점에서 사물을 본다고 생각한 바슐라르를 더 공부할 필요를 느낀다. 생각조차 하지 못하던 것을 알게 되는 기쁨을 누려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