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 뇌에 행동 스위치를 켜라
오히라 노부타카 지음, 오정화 옮김 / 밀리언서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바로 행동하지 못하는 이유는 생명 유지를 위해 목숨에 지장이 없는 한 현 상태(status quo)를 유지하려는 방어적인 뇌 구조 탓이다. 관건은 행동력의 근원이 되는 도파민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측좌핵이라는 스위치를 켜는 것이다. 뇌는 변화를 피하는 한편 가소성(可塑性)도 갖는다. 큰 변화는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작은 변화는 받아들이는 특성이다.

 

중요한 점은 양(量)에 집중해 질(質)에 이르는 것이다. 작은 것을 선택해 일단 행동하면 의욕이 뒤따른다. 이는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몸부터 움직이라는 조언과도 통한다. 등을 쭉 펴거나 바르게 고쳐 앉는 것만으로도 도파민이 분비된다. 앵커링 효과도 유용하다. 장소와 특정 일(또는 행동)을 연결짓는 것을 말한다.(앵커는 닻을 뜻한다.)

 

교회에 가는 것도 이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특정 장소인 교회에 갈 필요가 없다고 하는 사람에게 말해주고 싶은 효과다. 스스로 통제 가능한 '지금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자. 아슬아슬할 때까지 움직이지 않는 사람은 스스로 마감을 정해 VIP와의 약속이라고 생각하자. 바로 행동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무엇일까? 전자는 긍정적인 성공 이미지를 그리고 후자는 그러지 못한다는 점이다.

 

불가능한 이미지를 떠올리면 뇌는 무의식적으로 하지 않을 이유를 찾는다. 부감(俯瞰)이란 말이 있다. 높은 곳에서 구부려 전체를 보는 것이다. 미술 용어인 이를 일에 적용하면 이렇게 하면 가시적 결과나 성과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행동을 계속 축적해갈 수 있다는 말이 된다. 100% 예상대로 흘러가는 경우도 어긋나는 경우도 없다는 점을 잊지 말자.

 

결과 목표가 아닌 행동 목표에 집중하자. 이럴 경우 하고 있는 것만으로 이루는 것이다. 할 일에 쫓길 때에라도 하고 싶은 일도 하도록 하자. 업무 시간을 15분으로 나누는 것도 유용하다. 가장 집중을 잘 하는 30분을 하루 두 번 확보하자. 인생을 바꾸려면 원대한 목표가 필요하다. 원대한 목표는 사고나 행동, 결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 뇌에는 본능 행동과 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낡은 뇌인 대뇌변연계와 대뇌변연계의 위에 자리하는 새로운 뇌인 대뇌신피질이 있다. 목표는 끝이 아니라 다듬어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목표 완수 전 한 단계 높은 목표를 설정하자. 목표를 갱신하면 지금의 목표는 성장으로 가는 단계가 된다. '게으른 뇌에 행동 스위치를 켜라'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