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택과 결정은 타이밍이다 - 1%의 미련도 남지 않게 최선의 선택과 결정을 하는 법
최훈 지음 / 밀리언서재 / 2022년 1월
평점 :
‘선택과 결정은 타이밍이다‘는 흥미로운 책이다. 선택불가증후군이라는 병을 가지고 있다고 당당하게 말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 직장인이 쓴 책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책을 쓴 최훈 저자는 프로결정러가 되었다고 한다. 주의할 말이 있다. 프로결심러란 말이다. 이는 결심만 할뿐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을 비아냥거리는 말이고 프로결정러는 선택의 어려움에 빠져 있다가 그것을 극복한 사람을 말한다.
저자는 선택과 결정을 하지 못해 수십 번 땅을 치고 후회했고 회사에서 우유부단하다는 평을 받고 도망치고 싶었다고 한다.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 생각할 시간을 갖는 것은 선택과 결정의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 고민할 시간을 마련해주고 일의 완성도를 높이며 올바른 답안지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중요한 점은 후회를 두려워 하면 결정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저자는 말한다. 한 번 밖에 없는 나의 삶을 제대로 살고 싶다면 사는 동안 마주하는 수많은 중요 순간에 내가 원하는 선택과 결정을 하면 된다고. 가려야 할 것은 신중함과 결정장애 또는 신중함과 소심함이다. 저자는 최고의 선택과 결정을 위한 다섯 단어로 긍정, 심플, 확신, 완벽(주의 벗어나기), 경험 등을 꼽았다.
저자는 데니스 그레고리의 ’내 머릿속 원숭이 죽이기’란 책을 소개한다. 사람의 머릿속에 살며 상황에 따라 가면을 쓰고 나의 삶에 간섭하고 쓸데없는 생각들을 점점 많이 만들어내는 원숭이를 잘 통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원숭이는 내 자아이기에 없앨 수는 없지만 통제할 수는 있다.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다. 그렇기에 감정을 객관적으로 볼 필요가 있다.
저자는 예상 외로 말하기 연습이 필요하다는 말을 한다. 선택과 결정을 어려워 하는 사람들은 자기 주장이 없기에 확신에 찬 말을 함으로써 선택과 결정을 쉽게 할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불확실한 말습관이 결정장애를 낳는다. 불확실하거나 모호한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나를 주어로 하는 말을 해야 한다. 솔직하게 말할 필요가 있다. 선택 후 일어날 일을 두려워 하지 말자. 선택과 결정 앞에서 당당해지자는 말이다.
가장 중요한 말이 결정하지 않으면 기회는 오지 않는다는 말이다. 프로 결정러는 프로 분석러다. 저자는 철저하게 고민해야 할 다섯 가지를 제시한다. 1) 나의 선택과 결정이 기회와 연결되는지 여부, 2) 가능하면 비용이 적게 드는지 여부, 3) 어떤 것이 나와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4) 나의 선택이 지금 시기에 적합한지 여부, 5) 자신이 원하는 선택과 결정을 하는지 등이다.
명심해야 할 것은 때로 포기도 현명한 선택이란 점이다. 중요한 점은 포기가 실패는 아니라는 점이다. “선택과 결정이 어렵다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힘에 부친다면 마음 편하게 포기하라. 새로운 기회는 언제든지 다시 찾아온다. 당신은 그럴 자격이 충분히 있는 사람이다.”(153 페이지) 책을 읽으면 하지 않을 수 없는 생각이 있다. 명상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자기를 충분히 들여다보는 것이다. 마음이 고요해야 현명한 선택, 결정을 할 수 있다.
저자는 자신을 알아야 주체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책에는 뜻 밖에 정조(正祖) 이야기가 나온다. 일은 크거나 작거나 간에 신중하게 하여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 작은 일을 함부로 하게 되면 큰일도 함부로 하게 된다. 큰일을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은 작은 일을 함부로 하지 않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말이다. 최선의 선택은 실천이다.
저자는 자신이 고려하거나 고민하는 요소들을 과감하게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는 정말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결정, 선택이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선택, 결정을 어려워 하는 사람들은 무조건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포기도 선택이고 결정임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