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022년 1월 28일)은 제가 이틀째 강화도(江華島) 투어를 다녀온 날입니다. 덕진진(德津鎭)의 공조루(拱潮樓), 광성보(廣城堡)의 안해루(按海樓)가 인상적이었습니다. 공조루는 바닷물이 팔짱을 낀 모습으로 돌아드는 곳을 볼 수 있는 누각이라는 이름으로 해석됩니다.(拱; 팔짱낄 공) 안해루는 바닷물을 어루만지는 곳의 누각이라는 의미로 보입니다. 상당히 문학적인 표현입니다.(按; 누를 안, 안마할 안)

 

공조루는 표현이 문학적일뿐 아니라 바닷물이 8자로 돌아드는 형국이 연출되기에 이름과도 어울리는 것 같아 많은 생각을 하게 합니다. 안내판에 의하면 보(堡)는 일정 규모를 가진 부대 단위나 지휘소를 말합니다. 병사 주둔지, 창고 등도 포함됩니다. 돈대(墩臺)는 경사면을 절토(切土; 흙을 깎아내림)하거나 성토(盛土: 흙을 쌓음)하여 얻은 계단 모양의 평탄지를 옹벽으로 받친 방위시설을 말합니다.

 

용진진(龍津鎭)의 참경루(斬鯨樓)는 고래를 벤다(잡는다)는 의미의 누각입니다. 고래는 조선을 함락시켰던 청나라를 의미합니다. 석모도(席母島), 보문사(普門寺), 마니산(摩尼山) 참성단(塹星壇) 등은 처음 가보는 곳이어서 감회가 남달랐습니다. 성곽에서 물이 흘러내리도록 홈을 판 돌을 의미하는 누조석(漏槽石)을 보고 조선 궁궐을 오래 해설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떠올렸습니다.(槽; 구유 조) 드넓게 탁 트인 서해의 수평선을 보고 700여 미터의 김포 강화 해협을 보니 감회가 특별했습니다.

 

이번 여행에서 가지 못한 교동도(喬桐島)를 언제 가볼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에서 14번째로 큰 교동도는 연산군이 왕 자리에서 내려와 유배를 간 곳으로 유명합니다. 구름에 뜬 섬이라는 의미의 대운도(戴雲島)가 원래 이름이었습니다. 현재의 이름인 교동도의 교는 높을 교자입니다. 구름에 떴으니(높이 있는 것이기에) 높을 교자를 썼을 것입니다.

 

재인폭포 근무 후 박대표님을 뵈었습니다.(2022년 1월 29일) 로드맵과 비전을 제시하는 특유의 위의(威儀; 무게가 있어 공경할 만한 거동, 예법에 맞는 몸가짐)에 고개만 끄덕이던 저는 두 가지의 맞장구를 쳤습니다.

 

1) 지성인은 두 가지 선택지 사이에서 이리로도 저리로도 치우치지 않고 두 가지를 포용할 수 있는 경계에 자리한다는 말씀에 저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 장자(莊子)의 도추(道樞)라는 말을 했습니다. 도추는 도의 지도리(경첩)란 말로 ”이 지도리에 섰을 때 어떤 것들의 상대성이 보이고 그것들을 평등하게 대할 수 있다. 어떤 능선도 아닌 산의 정상에 섰을 때 비로소 우리는 그 산의 여러 능선들(해법들)을 함께 볼 수 있는 것이다.“란 말입니다.

 

2) ‘강화도 서편의 고려산 산자락에 심도학사(尋道學舍)라는 수행센터가 있습니다. 이 센터의 주인인 종교학자가 ’길은 달라도 같은 산을 오른다‘는 책을 썼습니다. 우리의 가치관을 뒷받침하는 제목이고 글이지요.’ 이 말에 대표님은 (부끄럽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평생 공부한 것을 실천해 지식인을 넘어서는 지성인이 되는 것이라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제가 강화 고려산에 올라 서해를 내려다본 것이 지난 2013년입니다. 이때 마음에 품은 것이 있었습니다. 그저 작은, 구체적이지 않은 생각이지만 내가 무언가 의미 있는 일을 해야 하지 않겠는가, 란 생각이었습니다. 이제 그 생각을 본격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시간 앞에 선 것 같습니다.

 

”과장된 평가로 들뜨게 하여 이미 나이 든 나를 빠리로 유혹하고, 논문지도 교수와 그곳 작가들을 소개해주고 고통스럽지만 보람 있는 지적 방랑의 길로 이끌어주셨던 교수 겸 문학평론가 고(故) 알베레스 선생님을 생각하면서“란 글로 ‘다시 찾은 빠리 수첩’이란 책의 머리 부분을 장식한 시인겸 철학자, 프랑스 문학자 박이문 교수가 생각납니다. 이 분의 고백은 그대로 제 고백이기도 합니다. 어렵고 생소한 공부의 길에 함께 해주시는 선생님들이 계셔서 힘이 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