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에 지쳐서인지 한 권을 진득하게 읽지 못하고 이것 조금, 저것 조금 하는 식으로 책을 읽고 있다. 분야도 지질, 역사, 물리, 사회과학, 생태 등으로 하나가 아니다. 이런 모습이야말로 생각을 다시 정리하는 중에 만들고 있는 분탕(焚蕩; 아주 야단스럽고 부산하게 소동을 일으키는 짓)의 행위인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비효율의 낭비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런 과정들을 통해 새로운 생각 거리들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내일은 지난 15일 근무한 백의리층에 다시 가게 되었다. 지난 근무 때에는 고고학 전공자와 나눈 대화로 얻은 바가 있었고 주위의 나무도 눈여겨 보았다.

 

눈에 띄는 책들을 순서에 개의치 않고 보고 있고 주위의 나무와 꽃들도 마음에 담아두고 있는 것이 요즘 내 일과라 할 수 있다. 내 행보가 “빛이 들지 않는 지평의 바깥, 그 어둠 속에 있는 것“(이진경 교수 지음 ‘예술, 존재에 휘말리다’(104 페이지)을 찾아가는 것이라고 굳이 말할 수는 없다.

 

‘예술, 존재에 휘말리다’는 지난 봄 2/ 3 정도 읽다가 덮어 두었던 책이다. 스티븐 제이 굴드가 ‘인간에 대한 오해’에서 한 말을 음미한다. 우리가 역사의 사소한 이야기거리에 빠져드는 것은 그것들이 우리 존재의 원천이기 때문이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