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째 한밤은 물론 새벽까지 25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숨막히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불합리의 극한은 섭씨 36, 37도를 오르내리는 한낮의 기온이다. 섭씨 37도 즉 화씨 99도 상황에서 유행하는 코로나 19는 임계점을 떠올리게 하는 것은 아닐까?
어떻든 24일 알라딘 분당 서현점에 다녀온 지 사흘만인 어제(27일) 다시 알라딘 강남점에 다녀왔다. 에어컨이 만들어주는 쾌적한 환경을 보고 낮에 20여분 걸어 도서관에 가기는 하지만 에어컨을 마음껏 틀 수 없는 집으로 다시 걸어 갈 용기가 차마 나지 않아 시원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전철을 타고 책을 사러간 것이다.
전철로 주요 방문지인 종로까지 오고 가는데 3시간이 걸린다. 잘 활용하면 얇은 책 한 권 정도는 읽을 수 있는 시간이 된다. 물론 에어컨이 만들어주는 상쾌함은 스마트폰에 빠지게 하는 빌미도 된다. 그 무의미의 늪에 빠지지 않으려면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어제도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어김 없이 광화문 교보문고에 들렀다. 늘 하는 생각이지만 책은 비용 대비 효과가 뛰어난 최고의 존재다. 에어컨 플러스 책이라는 점에서는 대형서점도 전철이나 도서관과 다를 바가 없다. 하지만 거기에는 문화라는 복합의 고급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지극한 감사거리가 있다.
그래서 나는 매번 한 권 이상의 책을 사는 것으로 보답을 대신하고 있다. 어제도 사고 싶은 책이 눈에 띄었지만 그러지 않고 김 선생님 가게(달리는 달팽이)에 주문했다. 급한 책이 아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책은 이렇듯 놀라운 여유의 산물이다.
나로 하여금 서점에서, 도서관에서, 전철에서 쾌적함을 누리게 하는 에어컨 자체가 책이 계기가 되어 만들어진 발명품이다. 책은 이 만큼 감사한 존재다. 책은 내용으로 나를 채워주고 마음까지 다독여주는데다가 에어컨으로 숨까지 잘 쉬게 해주는 평생의 친구다. 에어컨은 고온과 다습 때문에 종이가 변형되고 인쇄 품질이 나빠지는 문제를 해결해야 했던 출판사의 의뢰를 받아 캐리어라는 사람이 발명한 이기(利器)다.
서평단에 뽑혀 읽고 있는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을 낸 출판사의 한** 편집위원은 이 사실을 전하며 이 역사적 사실 때문만으로도 인류는 영혼을 끌어모아 책을 사야 한다는 말을 했다. 나는 영혼은 모르겠고 내 경제 사정에 비해 적지 않은 몫의 책을 지속적으로 사니 충분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책이 선사하는 혜택은 나무가 선사하는 혜택으로부터 비롯된다.
최근 발레리 트루에의 ‘나무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를 흥미롭게 읽었다. 중세 시대의 고온이 최근 수십 년간 인간이 초래한 기후 변화에 추월당했다고 진단하는 연륜연대학자인 저자는 지구 날씨가 정신 나간 것처럼 요상하게 행동한다는 점에서 글로벌 워밍(warming)이 아니라 글로벌 위어딩(weirding)이 정확한 말이라는 말을 했다.
이 책에 혹독한 환경하의 나무들은 성장에 심한 제약을 받아 천천히 자람으로써 나이테가 아주 좁고 목질은 치밀한데다가 상대적으로 온화한 환경에서 자라는 나무들에 비해 아주 오래 산다는 내용이 나온다. 궁금한 것이 있다. 혹독한 환경에서 자라는 나무로 만든 종이는 그렇지 않은 나무로 만든 종이에 비해 고온과 습기에 얼마나 강할까?란 궁금증이다.
폭풍이나 태풍이 가지를 부러뜨리거나 잎을 뜯어내면 나무는 광합성 능력을 잃는다. 나이테 기록은 가뭄이나 극단적인 기온 변화뿐 아니라 홍수나 폭풍 같은 다른 극한 기후를 재구성하는 데도 활용된다. 폭풍 또는 태풍이 광합성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그것처럼 책과 에어컨(의 발명) 역시 관련이 있을 것이라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