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익 감독의 영화 ’자산어보‘를 보았다. 서양 사람들은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알고도 천주님을 믿고 나는 성리학을 통해 기하학과 수리학을 받아들였다는 정약전의 말이 기억 남는 영화다. 정약용이 주인공이었다면 감상하지 않았을 것이다.

 

정약전에게 물고기에 대해 가르쳐준 스승인 ’장창대’의 아내가 나는 흑산이 좋소라는 말을 한다. 이 말에 남편 장창대는 “흑산이 아니라 자산(玆山)이지, 이(this) 산이지.”라는 말을 한다. 이 부분이 영화의 끝 부분이다. 알다시피 정약전은 흑산이란 말을 두려워 했다. 흥미로운 점은 자(玆)란 글자가 이것(this)을 뜻하기도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산 즉 우리가 사는 산이지란 말이 나왔을 것이다.

 

홍어(洪魚)의 영어 단어가 skate라는 사실도 알았다.(우리 영화이지만 영어 자막을 넣은 것은 해외 팬들을 위해서이겠다.) 어떻든 지금은 영화에 대해 이 정도 말만을 할 수 있다.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어제 ‘자산어보’를 본 곳은 광화문 씨네큐브였다. 이 선생님을 통해 알게 된 곳이다. 미국 영화 ‘매기스 플랜‘(2017년 2월 2일)과 레바논 영화 ’가버나움‘(2019년 2월 19일), 프랑스/ 일본 영화 '파비엔느에 관한 진실'(2019년 12월 19일) 등의 영화를 감상한 곳이고, 일본 영화 ’인생 후르츠‘의 포스터를 본 곳이기도 하다.

 

'인생 후르츠‘는 이선생님의 추천작이기도 하다. ”바람이 불면 나뭇잎이 떨어진다. 나뭇잎이 떨어지면 땅이 비옥해진다. 땅이 비옥해지면 과일이 익는다. 차근차근 천천히.“란 대사가 인상적인 영화다. 이 대사를 만난 것은 영화가 아닌 도시설계자/ 도시학자 정석의 ’천천히 재생‘이란 책에서다. 창신동 도시재생을 주제로 해설하기 위해 읽는 책이다.

 

바람이 불면 낙엽이 떨어지고, 그러면 땅이 비옥해진다는 말은 ”한 조각 꽃잎이 떨어져도 봄빛은 줄어드는 것을”이란 두보의 시와 정서가 다르다. 나는 이 말을 지난 2017년 정동(貞洞) 해설에서 활용했다.

 

정동을 현대적 명당으로 정의하며 그곳의 건축물들이 정동을 명당으로 만들기 위해 모이게 된 것인지 정동이 명당이기 때문에 모이게 된 것인지 모르지만 그 건축물들 가운데 하나만 지금과 달랐어도 정동의 아우라는 줄어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의 영화로 인해 이런 다채로운 느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