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상고사
신채호 지음, 박기봉 옮김 / 비봉출판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상고사‘는 단재 신채호 선생의 역작이다. 성균관 박사까지 지낸 유학자 출신의 사학자인 단재는 구한말 궁녀 출신의 박자혜와 결혼한 분이다. 단재가 논한 우리 상고사는 어떤 시기보다 많이 왜곡되는 등 논란이 큰 분야다. 책은 1편 총론에서부터 2편 수두 시대, 3편 삼조선의 분립 시대, 4편 열국 쟁웅(爭雄)시대, 5편 고구려의 전성시대, 6편 고구려, 백제 양국의 충돌, 7편 남방 제국의 대(對) 고구려 공수동맹, 8편 삼국 혈전의 시작, 9편 고구려의 대 수(隨) 전쟁, 10편 고구려의 대(對) 당 전쟁, 11편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 등으로 구성되었다.

 

안타깝지만 선생의 조선상고사 저술은 미완으로 끝났다. 57세에 여순 형무소에서 죽음을 맞이했기 때문이다. 책은 역사란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적으로 발전하고 공간적으로 확대되는 심적 활동 상태에 관한 기록이라는 말로 시작된다. 선생에 의하면 주관적 위치에 선 자가 아(我)이고 그 외의 모든 존재는 비아(非我)다. 선생은 아든 비아든 역사적 아가 되기 위해 두 가지 갖추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상속성(相續性)과 보편성(普遍性)이다. 전자는 시간적으로 생명이 끊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후자는 공간적으로 영향이 파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선생은 조선사는 내란이나 외구(外寇)의 병화(兵火) 때문이 아니라 조선사를 쓰는 사람들에 의해 더 많이 없어지고 파괴되었다고 말했다. 이는 우리의 역사가 사대주의적이었음을 증거한다. 선생의 읽기는 해체적 읽기의 전형이다. 선생은 김부식을 유학자로, 일연을 불교도로 언급하며 논의를 이어나갔다. 즉 김부식과 일연이라는 두 다른 세력이 화랑의 역사를 무시하거나 삭감했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화랑은 우리 고유의 것이고 유교와 불교는 외래의 것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된다. 물론 두 외래의 사상이 긍정적인 영향도 끼쳤지만 결정적인 부분에서는 문제적임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우리의 역사가 전해진 것은 사대주의자인 김부식이 중국의 사료에 적힌 내용을 자신의 책에 담았기 때문이다. 선생은 삼국사기와 동국통감 등의 정사를 사대주의적 저술로 평했다. 선생이 보인 것은 선행 사료를 비판적으로 읽는 일관성이다. 한편 중국에는 춘추필법이라는 역사 서술 방법이 있다. 위국휘치(爲國諱恥), 위존자휘(爲尊者諱), 위현자휘(爲賢者諱) 등이다. 위국휘치는 나라를 위해 부끄러운 일은 숨기는 것이다. 위존자휘는 존귀한 자의 잘못이나 수치는 감추는 것이다. 위현자휘는 능력 있는 사람을 위해 이름 밝히기를 꺼리는 것이다.

 

이렇기에 역사는 언제나 비판적으로 읽고 맥락을 고려해 합리적으로 추론해 읽어야 한다. 기록된 부분은 여러 사료를 고루 읽어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부분을 채택해야 한다. 그러면 기록되지 않은 부분은 어떻게 해야 할까? 기록되지 않은 부문은 유물이나 시대 정황 등을 미루어 읽어야 한다. 선생은 백제와 신라의 관계에 대해서 합리적 의심을 했다. 백제는 백전(百戰)의 나라이자 미수 허목이 ‘호전지국 막여벡제(好戰之國 莫如百濟’)라 평한 대국이다. 선생은 이런 나라가 작은 나라 신라를 향해 늘 화의(和議)를 구걸했다는 말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읽었다. 김춘추마저 신라는 나라가 작고 백성들이 약하기에 오직 외원(外援)을 빌려 백제에게 복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선생이 행한 비판적 읽기의 두 가지 사례를 보자. 1) 선생은 김유신의 명성은 패전은 감추고 작은 승리들은 과장한 결과 생긴 것이라 보았다. 이 부분에서 느끼는 아쉬움은 고구려가 중국을 비롯 이민족들과 전쟁을 치르느라 힘을 소진했다는 점이다. 고구려가 아니었다면 신라는 통일을 이루기 전에 소멸했을 것이다. 2) 선생은 연개소문이 중국에 정벌차 들어간 기록이 없자 당 태종이 모래를 쌓아 양곡 창고(노적가리)라고 속이고 고구려인들이 쳐들어오면 복병으로 유격했다고 한 황량대를 연개소문이 북경까지 추격했음을 알리는 유적으로 읽었다.

 

우리가 나라 이름으로 알고 있었던 한(韓)이 왕(王)을 뜻한다는 사실, 삼조선은 신조선, 말조선, 불조선이란 사실 등은 새롭다. 선생의 책은 복잡한 사건들을 하나 하나 가려내 읽은 노고의 산물이다. 고구려의 원래 이름이 가우리였다고 한다. 이는 전장에 선 선두 깃발을 의미하는 말이다. 신크마리는 스승 중 가장 높은 사람을 의미한다.

 

선생의 책은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편으로 종결되었지만 총론에서 조선 이야기를 꽤 했다. 1392년 고려를 무너뜨리고 건국한 조선의 경우 세종과 세조 이야기를 대표적으로 했다. 할아버지 태조와 아버지 태종이 내세운 사대가 굳어지는 가운데 세종은 몽골의 압박을 받던 고려 말엽 이전의 각종 실기에 근거하여 역사를 짓지 못하고 몽골의 압박을 받은 이후 외국에게 아첨하던 문자와 위조한 고사(故事)에 근거해 역사를 지어 구차스럽게 사업을 마쳤고 전대의 실록은 세상에 전포(傳布)되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규장각 안에 비장(秘藏)했다. 물론 이 기록은 임진전쟁 중 불탔다.

 

세조는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고 만주 침략의 꿈을 품고 강계에 군대를 주둔시켰다. 하지만 이는 태조의 존명건국(存明建國)의 국시와 충돌했다. 이 일로 인해 여러 신하들이 끊임없이 간쟁한 데 이어 명의 압박과 경계가 심해지자 세조는 생각을 바꾸었다.

 

선생은 우리 역사는 대개 정치사들이고 문화사는 별로 없으며, 정치사 중에서는 동국통감과 동사강목 외에 고금을 두루 관통한 저작이 없고 모두 한 왕조의 흥망만을 전했으며 공자의 춘추를 역사의 절대적 준칙(準則)으로 알고 그 의레를 흉내 내어 군왕을 높이고 신하를 억누르는 존군억신(存君抑臣)을 주장하다가 민족의 존재를 잊어버렸고 중국을 숭상하고 오랑캐를 물리치는 숭화양이(崇華攘夷)를 주장하다가 끝에 가서는 자기 나라까지 배격하는 편벽됨에 이르렀고 역사를 자기 국민들이 비추어 볼 거울로서 제공하지 않고 외국인에게 아첨하고 잘 보이려는 데 치중해 자기 나라의 강토(疆土)를 조금씩 잘라 양보함으로써 결국 건국시대의 수도까지 모르게 했다고 비판했다.

 

국민들이 비추어 볼 거울이란 문장에 나오는 거울이란 말은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난 낯선 거울’이란 김선희 교수의 책 제목을 생각하게 한다. 어떻든 단재가 든 아쉬움은 우리의 부끄러운 부분이다.

 

지난 2월 중국 대사관도 포함된 명동 해설 시간을 가졌다. 중국대사관이 있는 자리는 1882년 갑신정변 이래 청나라 군사가 사용하던 곳이다. 청나라 군대에 의해 정변이 좌절된 개화파의 수장 김옥균이 죽기 전까지 손에서 놓지 않았던 책이 방대한 자치통감이다. 단재는 아홉 살에 그 책을 배웠다니 대단하다. 물론 선생에 의하면 자치통감은 당 태종이 고구려군이 쏜 화살에 눈을 맞아 죽은 것이 아니라 요동에서부터 악성 종기를 앓은 끝에 죽었다고 썼다.

 

선생은 5, 6 종의 서적 수천 권을 반복하여 출입하거나 무의식중에서 얻거나 고심 끝에 찾아내 당 태종이 안시성에서 화살에 눈을 상하고 도망쳐 돌아가서 30개월을 고생하다가 죽었다는 수십 자의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선생은 ”원효와 퇴계가 만일 희랍의 강단에서 태어났다면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가 되지 않았을까?“란 말을 했다. 그리고 ”프랑스나 독일의 현대에 태어났다면 베르그송이나 오이켄이 되지 않았을까?“라는 말도 했다. 베르그송 철학을 읽었다는 사실이 신선하게 다가온다.(그런가 하면 오이켄은 나도 생소하게 느끼는 철학자다.)

 

선생은 개인은 사회라는 풀무에서 만들어질 뿐이라는 말을 했다. 그리고 개인이든 사회든 환경과 시대를 따라서 자성(自性)이 성립한다는 말도 했다. 선생은 역사 읽기의 한 모범 사례를 제공했다.

 

가령 궁예의 성이 궁(弓)인가 김(金)인가를 논할 것이 아니라 신라 이래 존숭하던 불교를 개혁하여 조선(우리나라)에 새로운 불교를 성립시키려 한 것이 궁예 패망의 도화선이 되었으니 만일 왕건이 아니었다면 궁예의 계획이 성취되었을까? 성취되었다면 그 결과를 확인한 후 이를 계획하였던 궁예와 그에 적대한 왕건의 사(邪)와 정(正)을 말하는 것이 옳다는 것이다. 누구의 핵심 사관을 논하기보다 이름 등에 너무 크게 관심을 두었으니 그간 지엽적인 부분을 중요하게 언급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역사에 대해 더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재독할 날을 기다린다. 더 나아진 문제의식과 내공으로 더 깊이 이해하는 읽기가 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