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조금씩 기독교와 가까워지고 있다. 아현성결교회, 약현성당, 서소문 공원 및 서소문 성지역사박물관, 감리교 신학대학 등이 주요 코스인 서소문 역사 탐방 때문인 것이 첫 번째 이유다. 물리천문학자 우종학 교수의 ‘과학 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을 읽었고 지금은 지질학 박사 이진용 교수의 ‘지질학에서 하나님을 만나다’와 박남희, 이부현 등의 ‘처음 읽는 중세철학’을 읽고 있다.

 

이진용 교수의 책은 ‘과학 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의 문제의식을 잇는 책이라 생각한다. '처음 읽는 중세철학’에서는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신플라톤주의 철학을 서양 중세기에 녹여낸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을 정초한 안셀무스, 토마스 아퀴나스, 존 둔스 스코투스 등 기독교와 불가분의 철학자들을 만날 수 있다. 서소문 준비 과정에서는 조선시대 네 차례 가톨릭 박해(신유, 기해, 병오, 병인) 사건을 정리할 수 있었다.

 

김선희 교수의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난 낯선 거울’을 통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얻었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이 반드시 개혁적이거나 반성리학적 혹은 탈주자학적인 것은 아니다‘, ’조선 유학자들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성리학을 비판한 사람으로 알려진 정약용도 성리학의 토대인 이기론의 이론적 함의와 그 영향력을 제한하고자 한 것이지 주희의 학문 전체를 반대한 것이 아니었고 성리학의 핵심 주제들과 완전히 다른 이론을 전개한 것도 아니었다‘, ’당시 천주교를 종교적으로 수용한 사람들의 경우에도 유학을 완전히 떠났다고 하기 어렵다‘는 점 등이다.

 

전희준의 ’기독교 교파 한눈에 보기‘도 좋았다. 이 책을 통해서는 장로교와 감리교의 차이, 미국 북감리교회와 남감리교회의 차이 등에 대해 알았고 베드로와 반석(磐石)에 얽힌 사연(페트로스와 페트라, 헬라어와 아람어의 차이)을 만났다. 다음달 코스에서 이런 문제의식을 이어갈 수 있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