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학자 데이비드 몽고메리의 '흙'에서 다윈의 지렁이(다윈은 흙을 만들어내는 지렁이를 자연의 정원사라 이름했다.) 실험, 지각평형설 등의 개념을 만난다. 지각평형설은 침식으로 인해 땅이 없어지는 몫을 상쇄하기 위해 지표를 향해 암석을 밀어올리는 것을 말한다.
몽고메리는 지리학은 흙이 침식되는 원인과 침식에서 비롯되는 문제를 다룬다고 말한다.(10 페이지) 지리학은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으로 나뉘니 몽고메리가 말한 지리학은 자연지리학을 말하는 게 아닐까 싶다.
"생명체에게는 한꺼번에 사라져 버릴 만큼 빠르지 않아야 하고 흙을 늘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침식이 필요하다."(28 페이지)
"오늘날 널리 받아들여지는 지각평형설은 침식이 땅을 없애기도 하지만 없어진 높이의 상당 부분을 상쇄하기 위해 지표를 향해 암석을 끌어올리기도 한다고 설명한다."(22 페이지) 이 문장에서 땅을 없애는 것이 침식인 것은 분명하지만 암석을 끌어올리는 것도 침식인가요?
원문이 어떤지 모르지만 자연의 평형 시스템이 암석을 끌어올리는 행위의 주체로 받아들여지네요.. 다윈의 자연선택처럼요..다윈은 자연선택에 행위자가 있는 것처럼 자꾸 오해하는 것이 괴로워 자연선택 대신에 스펜서가 추천한 적자생존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정인경 지음 '뉴턴의 무정한 세계' 137 페이지)고 하지요.
물론 다윈은 후에 자연선택이라는 말을 쓰게 되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