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현학적일 때가 있다는 말을 들은 탓에 좌암우장(左巖右長)이란 말을 쓰지 못했다. 연천 지질공원의 핵심이라 할 좌상바위가 마을 좌측에, 장승(長丞)이 우측에 있는 것을 보고 좌묘우사(左廟右社)에 견주어 표현하고 싶었으나 하지 못한 것이다.(좌암우장이란 내가 만든 말이다.)
자살바위라고도 불렸고 풀무산이라고도 불렸던 좌상바위는 중생대 백악기 말의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바위다. 풀무산은 바위 모양이 풀무 같거나 그곳에서 풀무질을 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사실 용암을 분출한 화산을 풀무산이라 부른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풀무는 바람을 일으켜 불을 피우는 기구고 화산에서 나오는 것은 불이니 잘 어울리는 이름이다. 나는 풀무산이란 이름이 더 좋다.
이곳의 기반암은 고생대 데본기에 형성된 미산암이다.(연천군 미산면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은 이름이 미산암이다.) 미산암은 아우라지 베개용암과 함께 한탄강 지질공원이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는데 중요한 몫을 했다. 중생대 백악기 말의 화산 활동의 결과물이라니 생각나는 것은 공룡이다. 당시 연천에도 공룡이 살았을까? 알 수 없다.(연구에도 불구하고 밝혀지지 않은 것이 아니라 내가 모른다는 말이다.)
로마의 화산의 신인 불카누스(Vulcanus)란 말에서 화산(volcano)이란 말이 나왔다. 용암이 묽을수록 분화 기둥은 분수처럼 흩어진다. 이런 용암은 평범한 강물처럼 움직인다. 차이가 있다면 피처럼 붉을 뿐이란 점이다. 지질 공부를 하니 현무암의 어두움을 많이 접하고 생각하게 되지만 붉음도 그에 못지 않게 자주 생각하게 된다. 적벽(赤壁)이란 말을 통해 생각하게 되는 붉음이 대표적이다. 자색(紫色)이 붉은색을 훼손하는 것을 미워했던 공자가 생각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