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節藻梲, 산절조절이라 읽는다. ()은 마디 절로 많이 쓰이지만 이 성어(成語)에서는 지붕 받침대인 두공(枓栱)을 의미한다. ()이 두공을 뜻하는 것은 사전을 통해서는 알기 어렵다. ()은 동자기둥을 뜻한다. 공자(孔子)는 신분을 뛰어넘는 규모의 일무(佾舞)를 추었다는 이유로 계손(季孫)씨를 질타했듯 신분에 맞지 않는 장식을 했다는 이유로 노나라 대부 장문중(臧文仲)도 질타했다. 산절조절했다는 것은 두공에 산을 조각하고 동자기둥에 수초 무늬를 그려넣었다는 뜻이다.

 

한 학인은 늘 쓰던 말의 의미와 그 말에 담긴 이치를 새로이 공부할 때 느끼는 기쁨이 주역을 공부할 때 얻는 빼놓을 수 없는 재미라고 말했다.(‘내 인생의 주역‘ 397, 398 페이지)나도 강하게 동의하는 바이다. 주역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상기한 재미는 한자를 공부할 때 전반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재미다. 흥미로운 점은 오타로 인해 가장 많이 힘이 드는 경우가 주역을 공부할 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가령 간유배(艮有背)를 간기배로 잘못 기록한 한 책을 보고 아, 주역에서는 유()라는 글자가 기라는 음으로도 읽히는가보다란 생각을 했다. 문제는 그럴 경우 그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이다. 이는 우리가 순서의 의미로 많이 아는 차()가 주역에서는 거처나 장소 등을 의미하고, 왼쪽을 뜻하는 좌()가 내치다는 의미로 쓰이고 고()의 경우 알린다는 의미가 아닌 뵙고 청하는 것을 의미할 경우에는 곡으로 읽히는 것 등을 감안하면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 라는 말이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지을 ; 자를 앞에 두고 차를 다음에 두면 조차; 造次라는 말이 된다. 조차는 조차간; 造次間의 줄임말로 아주 짧은 시간, 아주 급한 때를 의미한다. ’조차; 造次가 아주 급한 때를 의미한다면 전패; 顚沛는 정신이 없어 엎어지고 자빠지는 순간을 의미한다. ‘; 는 물이 쏟아지는 것, 넘어지는 것 등을 의미한다.

 

잘 알려졌듯 ; 는 제왕의 고향을 의미하는 풍패; 豐沛라는 말에서 만날 수 있는 말이다. 풍패는 한고조 유방이 태어난 곳이자 처음으로 군사를 일으킨 곳이다. 풍패가 제왕의 고향을 의미하는 것은 이런 연유들로 인해서다. 이성계의 연고지 전주에 있는 객사에 풍패지관; 豊沛之館이라는 현판이 있다. 1606년 명나라 황손의 탄생을 반포; 頒布; 널리 펴서 알게 함.. ; 나눌 반)’하러 온 사신 주지번; 朱之蕃이 썼다는 글씨다. 전주를 유방; 劉邦의 고향에 비유한 이름이다.)

 

곁가지가 길었는데...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면 문제는 주역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면 간기배란 간유배의 오타라는 사실을 알았을 것이고 그러면 이리 저리 헤매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물론 그 헤아림 때문에 공부가 되었다. 배망면낙(背邙面洛)이란 말이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의미라는 점도 흥미롭다. 낙양(洛陽)은 망산(邙山) 즉 북망산(北邙山)을 뒤로 하고 낙수(洛水)를 앞에 두고 있다는 의미다.

 

황하의 지류인 낙수는 산시성과 허난성을 흐르는 강이다. 낙양이 배산임수를 하고 있으니 망산 남쪽에 낙양, 거기에서 더 남쪽에 낙수가 흐른다는 말이다. 이를 산남수북(山南水北)이라 한다. 산의 남쪽, 물의 북쪽이 양()이라는 의미다. 한양(漢陽)은 낙양이라는 말을 따라 지은 이름이다.

 

중국의 경우 서고동저(西高東低) 지형으로 인해 강이 대부분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그리고 물이 넘치면 대개 남쪽으로 흐른다. 물이 넘치는 남쪽은 습해서 음()이고 상대적으로 건조한 북쪽은 양()이 된다. 풍패지관이란 말도 배산임수란 말도 한양이란 지명도 모두 중국으로부터 받은 영향을 반영한다. 최근 겸재 정선의 그림을 소중화(小中華) 사상의 구현으로 정의한 미술책을 읽었는데 함께 알아볼 만한 이슈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