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 - 1682)의 집을 방문해 정원 그림을 그렸다는 소치(小痴) 허련(1809 – 1892)이 당나라 시대 사람 왕유(699 – 759) 즉 1000년 이상 차이 나는 사람을 본받아 이름을 허유로 바꾸고, 자(字) 역시 왕유의 자를 따라 마힐이라 이름한 것은 그의 스승 김정희(1786 – 1856)가 청나라 시대 사람 옹방강(1733 – 1818)을 사모해 그의 호 담계(覃谿)를 따라 보담재(寶覃齋.. ‘보寶‘에는 귀중하게 여기다란 의미가 있지요.)라 이름 한 것을 연상하게 하지만 김정희가 허유에게 너의 그림이 내 그림보다 낫다고 한 것처럼 허유는 본받음 면에서 스승이 50년 정도 선인(先人)인 옹방강을 본받은 것과 달리 무려 1100년 선인(先人)인 왕유를 본받아 스승을 일거에 뛰어넘었지요.. 허유는 소치 외에 노치(老痴)란 호도 있었으니 어려서부터 나이들어서까지 꾸준히 어리석었다는 뜻인가요?
이런 겸양은 조선인의 취향을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의 거의 모두가 그에게서는 너무나도 상대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는 스승 김정희와는 극적으로 다른 바이기도 할 것입니다. 물론 소치는 김정희가 대치(大痴) 즉 원나라 화가 황공망의 호를 따라 지어준 것이니 명명(命名)의 독자성은 없지만 인품이 원만, 자애로웠다니 제대로 된 동정(同定)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렇게 쓰고 나니 문제가 있습니다. 허련의 허유로의 전환에 김정희의 영향력이 있었는지, 있었다면 어느 정도인지 헤아리지 못한 것입니다. 허련이 허유로 이름을 바꾼 것을 허련이었다가 후에 허유로 바꾸었다고만 기록하고 정확한 시점을 이야기하지 않아 답답합니다. 정확한 시점, 김정희의 영향 등과 관련해 정보주실 분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