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화성행차 - <반차도>로 따라가는
한영우 지음 / 효형출판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세종 시대와 정조 시대의 격차는 350여년이다. 정조 시대와 현대의 격차는 240여년이다. 같은 시대인 세종과 정조 시대의 간격보다 정조 시대와 현 시대의 간격이 더 짧은 것이다. 세종과 정조는 자주 비교된다. 두 군주의 공통점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이 애민정신이다. 세종의 애민정신은 위대한 국문자를 만들어냈고 정조의 애민정신은 철저한 기록문화를 남겼다.

 

정조 시대 기록문화의 꽃은 의궤(儀軌). 이 가운데 화성성역의궤와 원행을묘정리의궤는 무섭다는 평을 받을 만하다. 전자는 신도시 화성을 건설하고 만든 공사보고서이고 후자는 1795년 어머니 혜경궁과 아버지 사도세자의 회갑을 맞이하여 화성과 현륭원에 다녀와서 만든 8일간의 행차보고서다.

 

한영우 교수의 반차도로 따라가는 정조의 화성행차는 정조의 화성행차를 그린 반차도를 상세 해설한 책이다. 돋보이는 것은 원래의 그림에는 수행원의 경우 직함만이 적혀있으나 새로 만든 반차도에는 직함에 해당하는 인물을 원행을묘정리의궤에서 조사하여 넣었다는 점이다.

 

서울 청계천에는 188미터에 이르는 방대한 도자벽화로 반차도가 재현되어 있다. 정조는 군사(君師)로 자처했고 만천명월주인옹이라고 자임했다. 정조는 홍재전서라는 방대한 문집을 발간해 앞선 군주와 차별성을 보였다. 정조가 아버지의 명예를 회복시킨 것은 왕권강화의 의미가 있었다. 그것은 아버지를 핍박한 정치세력을 간접 응징하는 것이기도 했다.

 

왕권강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 중 하나가 군대 장악이었다. 장용영은 정조가 창설한 친위부대였다. 규장각 창설이 문신 장악의 의미를 갖는다면 장용영 창설은 군대 장악의 의미를 갖는다. 조선의 18세기는 상공업의 발달로 농업 일변도의 국가 운영이 종말을 고한 때였다. 경제가 성장하며 새로운 상업문화가 등장했다. 상공업 발달의 긍정적인 측면을 수용, 시전상인들에게 부과했던 금난전권을 혁파했다. 이를 신해통공(1791)이라 한다.

 

문체반정은 정조가 상업문화의 부정적 측면을 배제하기 위해 실시한 정책이다. 정조가 주자성리학을 정학으로 정립하려 한 것은 청나라 대중문화에 대한 대안 제시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정조는 성리학만을 유일한 교학으로 고집하지 않았다. 중국에서 들어오는 고급문화 즉 과학과 기술, 고급학문 등은 즉각 수용했다.

 

정조는 순조가 15세가 되는 1804년을 기해 왕위를 물려주고 어머니를 모시고 은퇴하여 살 직할도시를 갖고 싶어 했다. 화성건설은 정조 18(1794) 봄에 착수하여 2년 반 뒤인 정조 20(1796) 가을 완료했다. 정조가 아버지 무덤을 양주 배봉산에서 수원 남쪽의 화산(花山)으로 옮긴 것은 단지 그곳이 명당이어서가 아니라 무덤 북쪽의 팔달산 아래에 왕의 모든 꿈이 담긴 이상향을 건설한다는 웅대하고 원대한 계획을 위해서였다.

 

화성을 군사 요새지로 만드는 것이 정조의 유일한 목표는 아니었다. 화성에 인구를 모으고 경제를 발전시켜 대도회(大都會)로 키우고 행정상으로도 격상시켜 부수도(副首都)로서의 면모를 갖추려 한 것이다. 그래서 수원부를 유수부로 승격시켰고 이름도 수원에서 화성으로 바꾼 것이다. 정조의 꿈은 화성 주민들이 집집마다 부유하고 사람마다 화락하는 낙원도시를 만드는 것이었다.

 

화성 공사 비용은 국가재정에서 지출하지 않고 왕실의 내탕금으로 충당했다. 화봉삼축(華封三祝)이란 고사가 있다. ()나라 지방에 봉해진 어떤 사람이 요() 임금에게 수(), (), 다남(多男)을 기원했다. 요임금은 수는 욕됨이 많고, 부는 일이 많으며, 다남은 걱정이 많아서 싫다고 했다. 화성이란 이름에서 정조는 백성의 입장에서는 왕실의 장수, 부귀, 번창을 기원하는 도시, 왕의 입장에서는 요 임금처럼 덕을 펴는 도시를 의도한 것이다.

 

정조는 행행(幸行) 3355건의 상언이나 격쟁을 처리했다. 대규모 인원이 이동하려면 길을 닦고 다리를 건설하거나 보수하게 되니 치도(治道)의 효과가 있었다. 많은 군사를 데리고 가면서 수도권의 방위체제를 점검하고 군사를 훈련하는 기회가 되었다. 정조는 화성에서 회갑연을 베푼 뒤 618일 창덕궁 연희당에서 다시 회갑연을 치렀다.

 

반차도는 단원 김홍도의 지휘 아래 김득신(1754-1822), 이인문(1743-1821), 장한종(1768-1813) 등 당대 인류 화원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새로 만든 반차도에는 원래의 그림에 들어있지 않은 채제공(총리대신), 홍낙성(영의정), 심환지(병조판서), 윤행임(정리당상) 등 수십 명의 인원을 넣었다.

 

원래 현륭원으로 가는 갈은 시흥 방향이 아니고 지금의 남태령을 넘어 과천(果川)과 인덕원(仁德院)을 거쳐 가는 길이었다. 그러나 1795년 거둥길에서는 새로 시흥길을 택했다. 남태령길을 닦는 것이 힘들어서였다. 야사에는 다른 이야기가 나온다. 과천에서 인덕원으로 가는 길에 찬우물점을 거치는데 이곳의 김약로 무덤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김약로는 노론의 영수로 사도세자의 죽음에 깊이 관여한 김상로의 형이다.

 

화성거둥길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한강을 건너는 일이었다. 배다리를 놓는 것이 최선이었다. 배다리는 정조의 기본설계에, 세부적인 면에서는 약간의 수정이 가해진 끝에 최종 완성되었다. 정조는 행차를 떠나기에 앞서 한강의 배다리에서 도강 예행연습을 가졌다. 이 행사를 주교도섭습의(舟橋渡涉習儀)라 했다.

 

척후복병의 배치도 중요한 일이었다. 아니 반드시 필요한 일이었다. 29일 묘시로 출발 시각이 정해졌다. 정조는 융복(戎服)을 입었다. 211일은 한양을 떠난 지 사흘째 되는 날이자 화성에서 여러 행사가 시작된 첫날이다. 화성에서의 첫 행사는 향교 참배였다. 두 번째 행사는 낙남헌(洛南軒)에서 문무과 별시를 거행한 일이었다. 시험문제는 근상천천세수부(謹上千千歲壽賦)였다. 자궁(慈宮: 혜경궁)께서 오래 사시기를 기원하는 내용의 부()를 지어바치라는 것이다.

 

셋째 날의 마지막 행사는 봉수당에서 거행한 진찬습의(進饌習儀)였다. 회갑 잔치 예행연습을 한 것이다. 넷째 날은 오전에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을 참배했고 오후와 야간에는 화성에서 두 차례 군사훈련을 거행했다. 화성을 건설한 목적의 하나가 난공불락의 군사요새지를 만드는 것이었기에, 또 화성에 5000명의 장용영 외영을 두었던 만큼 화성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했다.

 

성에서 하는 군사훈련을 성조(城操), 낮에 하는 훈련을 주조(晝操), 밤에 하는 훈련을 야조(夜操)라 한다. 다섯 째 날은 행차의 하이라이트인 진찬례였다. 잔치는 진정(辰正) 3각에 봉수당에서 거행되었다. 여섯 째 날 정조는 신풍루에서 주민들(환과고독의 화성부 사람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고 낙남헌에서 양로연을 열었다.

 

이어 정조는 자신이 설계한 화성의 성곽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싶어 경관이 가장 빼어난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으로 갔다. 수원성곽의 동북각루로서 깎아지른 암벽 위에 우뚝 서 있는 이 정자는 장안문 및 화홍문(북수문)과 인접하여 화성 동북지방 방어의 요해처로 건설되었지만 평상시에는 시정(詩情)을 자아내는 절경을 연출한다. 득중정(得中亭)에서의 활쏘기를 끝으로 화성에서의 모든 행차는 끝났다.

 

일곱 째 날은 한양으로 돌아가는 첫 날이다. 여덟 째 날 정조는 백성들을 가마 앞으로 직접 불러 대화를 나누었다. 왕성한 정력을 과시하던 정조는 180062849세를 일기로 갑자기 타계했다.

 

정조의 죽음과 더불어 각계각층의 백성을 끌어안았던 개혁은 종말을 고하고 정조가 싫어했던 서울 귀족 양반들의 연합정권인 세도정권이 19세기 정치를 이끌어가게 되었다. 세도정권의 주역들은 학벌이 높고 감각도 세련되었지만 지방 백성들을 끌어만을 만한 지도력과 포용력이 없었다. 19세기는 서울과 지방이 극단으로 대립하는 비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