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민의 두 얼굴의 조선사를 읽다가 낯익은 이름을 만났다. 장길산(張吉山). 주제를 뒷받침하는 작지 않은 이름이다. 1990년 여름 황석영 작가의 10권짜리 장편 장길산을 읽던 때를 회상하게 하는 이름이다. 장길산은 17세기 후반인 1680년 무렵 활약한 도적으로 근거가 분명하지 않음에도 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름이다. 17세기는 윤선도(1587 1671), 허목(1595 1682), 윤휴(1617 1680) 등이 살아 있던 때였다.

 

이경구의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에는 윤선도, 허목은 없고 윤휴를 비롯 김장생 부자, 김집 부자, 김육, 장유, 송시열, 유형원, 이현일, 남구만, 김창협, 김창흡 등이 소개되어 있다. 생소한 장유, 이현일, 남구만 등을 알 수 있어 좋지만 허목과 윤선도가 없어 아쉽다. 윤선도, 허목, 윤휴는 예송 논쟁 당시 남인의 주요 논객이었다. 허목, 윤선도는 단행본 책을 통해 알아보아야 하리라. ’두 얼굴의 조선사의 부제인 군자의 얼굴을 한 야만의 오백 년이 꽤 인상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