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해설은 사진과 영상 제작 동아리의 어르신들과 함께 한 시간이었다. 사진 동아리이기에 프랑스의 위대한 사진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이 언급한 결정적 순간에 대한 언급으로 운()을 떼었다. 브레송은 삶의 환희와 고통, 현실의 적나라한 순간들을 사진으로 남겼다. 후에 수전 손탁의 사진 비판론을 논할 팀이 있으면 좋겠다. 손탁은 카메라를 총에 비유했다.

 

1)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의 숭의전(崇義殿)에 있는 관세위(盥洗位)는 제향 때 제관이 손을 씻는 곳이다. 2) 배신청(陪臣廳)은 공신들을 모신 곳이다.(; 씻을 관, ; 모실 배) 3) 이안청(移安廳)은 임시로 어진을 모시던 곳이다. 4)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인 당포성(堂浦城) 위에 팽나무 한 그루가 있다.

 

1)2)는 질문이 있어 정확히 답했다. 3)은 종묘의 망묘루 같은 곳이라 잘못 답했다. 4)에 대해서는 아무도 묻지 않았고 나 역시 몰랐다.(팽나무의 팽이 한문인지 한글인지 모르겠다. 한문이라면 어떤 글자를 쓰는지 궁금하다.)

 

당포성의 주소를 묻는 분에게 아미리라 했다가 숭의전이 아미리 아닌가요란 말에 아, . 동이리입니다라고 바로 고쳤다. 풍수 지식을 망원경에, 한자 지식을 현미경에, 문사철과 유불선 지식을 그물에, 사주와 관상 지식을 표창에, 샤머니즘 지식을 드릴에 비유한 조용헌 교수가 문득 생각난다.

 

언급한 것들은 조용헌 교수가 20년 넘게 여기저기 답사를 하다 보니 갖추게 된 지식이라고 한다. 다른 것은 몰라도 한자 및 문사철과 유불선에 대한 지식 정도는 갖추어야 하리라. 문사철에 포함되는 주역, 유불선에 포함되는 불교 미술에 많은 시간을 쓰고 싶다. 그리고 나만의 비기(祕技)를 개발하고 싶다. 물론 박학다식과 함께 갖추는 비기이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