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종묘 해설을 하기 위해 입장하며 검표(무료관람이었지만 근무는 하는...) 직원에게 인사를 하자 오랜만에 오셨네요, 란 말을 했다. 종묘는 궁궐 가운데 내가 다른 곳에 비해 비교적 많이 드나든 곳이다.
교육 과정을 마치지 않은 상태로 첫 해설을 한 곳이고, 동기들에게 해설을 한 곳이고, 공부하는 사람이라며 부탁해 외국인에게 하는 영어 해설을 들은 곳이고, 묘현례(廟見禮)를 보기 위해 갔던 곳이고, 울적할 때 해설을 듣기 위해 갔던 곳이고, 올 봄 해설 준비를 위해 몇 차례 갔던 곳이고, 어제 해설을 위해 갔던 곳이다. 물론 내가 그분에게 각인(?)된 것은 몇 가지의 전문적인 질문을 했기 때문이다.
돌이켜 보면 지난 2017년 이 즈음에 비해 시간이 갈수록 내 종묘 내공이 풍성해졌다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말로 하면 과거는 미약했다는 의미다. 공부하는 사람이라며 부탁해 외국인에게 하는 영어 해설을 들은 곳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니 프랭크 게리가 생각난다.
지난 2012년 리움 미술관의 초청을 받고 특강을 위해 한국에 온 게리는 자신이 한국에 온 것은 종묘 정전을 보기 위해서라는 말을 했다. 그러면서 그는 일반인들이 없는 이른 시각에 자신의 일행들만 종묘를 보게 해달라는 부탁을 해 결국 문화재청의 허락을 얻어냈다.
그는 동선에 맞게 안내하려는 종묘 직원을 마다하고 바로 정전으로 가 합장, 배례했다. 그는 어떤 명분을 제시했었을까? 종묘 제사에서 술을 드리는 의례를 빼놓을 수 없다. 임금이 단술(감주)을 바치는 것을 초헌(初獻), 세자가 탁주를 바치는 것을 아헌(亞獻), 영의정이 청주를 바치는 것을 종헌(終獻)이라 한다.
경북 예천(醴泉)의 예(醴)가 단술 예자다. 예천군의 옛 지명이 달 감과 샘 천을 쓰는 감천(甘泉)이었다. 현주(玄酒)는 특이하다. 술 주자가 들어 있지만 맑은 물을 의미한다. 조선의 경우 비가 오지 않거나 농사 상황이 좋지 않으면 금주령을 내린 까닭에 제사에 술을 쓸 수 없었던 관계로 맑은 물이라는 의미의 현주, 달콤한 술이라는 의미의 감주를 올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