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관의 '과학자의 글쓰기'를 읽고 있다. 많은 점에서 참고가 되는 유용한 책이다. 과학자가 글과 책을 써야 하는 이유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 책이다. 신문에 게재되는 칼럼과 분량면에서 비슷한 2000자의 글을 잘 쓸 수 있다면 책쓰기도 넘을 수 없는 벽이 아니라는 것이 저자의 진단이다.

 

저자는 광상학(鑛床學)이 양자역학보다 더 중요한 학문이라는 박문호 박사의 말을 계기로 지질학에 대한 책들을 읽게 되었다고 말하며 지질학 관련서들을 추천했다. 저자가 추천한 책은 아니지만 중고생을 위한 한국지질공원 여행이란 책에서 내가 사는 연천군의 재인폭포, 당포성, 임진강 주상절리, 전곡리유적 토층 등에 대한 글을 만났다.

 

사실 책을 통해 과학적으로 분석된 연천을 만난 것은 손영운의 우리땅 과학 답사기가 처음이다. 이 책에 의하면 연천은 이중환이 택리지에서 검은 돌이 마치 벌레를 먹은 것과 같은 이상한 곳이라 소개한 곳이다.

 

저자에 의하면 옛 연천 사람들이 그 검은 돌(현무암)로 한탄강 수직 단애(斷崖) 위에 고구려의 3대성인 은대리성, 당포성, 호로고루성을 쌓았다.(이런 방면에 무지한 나는 토성을 쌓았던 백제와의 차이는 무엇일까를 생각해보게 된다.)

 

잘 알 듯 연천은 경관이 빼어나지만 분단의 상징지이다. 지난 427일 연천에서는 DMZ 평화 기원 인간 띠잇기 행사가 개최되었다.(이 시간에 나는 함석헌 기념관에서 김진호 목사의 강의를 듣고 있었다.)

 

어떻든 과학자의 글쓰기를 통해 나는 또 한번 평소 인지하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지 못한 나를 발견했다. 잠정적이라는 말을 해야 할지 모르지만 나는 책을 통해 만나는 연천이 불편하다.

 

어쩌면 나는 파랑새신드롬(다른 데에 더 좋은 것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찾는 것)에 따라 서울을 드나드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확언할 수 있는 것은 지질공원보다 서울의 궁궐들이 더 좋다는 것이다. 물론 궁궐들과 지질공원은 이것이냐 저것이냐로 선택할 것들이 아닌지도 모른다. 지금은 내가 관계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