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애국가와 무궁화에 대한 연이은 충격적인 사실을 전하는 강효백 교수님의 책 가운데 ‘꽃은 다 함께 피지 않는다’가 있다. 이 책에 ‘사랑은 우단사련藕斷絲蓮처럼‘이란 글이 있다.(藕: 연뿌리 우.) 우단사련은 연뿌리가 잘라졌으나 끈끈한 점액질의 하얀 실이 나와 계속 연결된 상태를 뜻하는 말로 형제애 또는 이성간 사랑을 상징한다.
’꽃은 다 함께 피지 않는다’에는 ‘슬픔도 사랑이다’란 글이 있어 관심을 끈다. ‘사랑은 우단사련藕斷絲蓮처럼’ 같은 글만 있었다면 흥미를 덜 끌었을 것이다. ‘위대한 모정처럼 당신을 사랑하세요’ 같은 글도 그렇다.
권지영 시인의 ‘거미줄’이란 시가 생각난다. “나무와 나무 사이/ 어두운 밤에도 드리워진/ 거미줄 한 가닥// 그대와 나 사이에도/ 저만치의 거리에서/ 아스라이 닿아// 거친 바람에 흔들릴지라도/ 끊어지지 않는/ 인연 한 가닥”
어제 나는 한 수업 시간에 아리아드네(ariadne)란 아이디를 쓰는 분에게 테세우스는 어디 있느냐는 물음을 던졌다. 이 분을 포함 두 명의 다른 여자 분과 함께 식사를 하고 차를 마시며 네 시간 가량 노닥거렸다. 아리아드네는 괴물 미노타우르스를 처치하기 위해 미궁에 들어간 애인 테세우스를 위해 실뭉치를 주어 길을 잃지 않고 나올 수 있게 한 신화 속 공주다.
이 수업에서 나는 낙하산 때문에 정교수가 되지 못한 분의 이야기를 듣고 그 낙하산 줄을 끊어야 하는데, 라 말해 좌중을 웃겼다.(그러고 보니 이 글의 주제는 실 또는 줄인 듯 하다.)
“거친 바람에 흔들릴지라도/ 끊어지지 않는/ 인연 한 가닥“이란 시구를 접하고 나는 슬픔 의 감정을 느꼈다.(슬픔도 사랑이지만 모든 슬픔이 사랑은 아닐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연 한 가닥’이란 구절이 나를 슬프게 한 것이다. 모든 소중한 인연을 위해 자신을 던지는 사람들이 많으면 얼마나 좋겠는가, 하는 생각에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