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이 천사의 말을 한다
허금행 지음 / 경진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편이 천사의 말을 한다. 수필문학, 시문학으로 등단한 허금행님의 수필집이다. 저자는 현재 뉴욕에 거주한다. 표제작은 수필집 가장 마지막에 수록되었다. 고교 2학년 때 만난 의과대학 본과 1학년의 남편 이야기이다. 그러나 저자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남편은 미국 산부인과 자격시험으로 전문의가 된 후 곧바로 뉴욕신학대학에 입학해 목회학 박사가 되었다. 남편이 끝없이 공부만 할 동안 집안 건사는 아내인 저자의 몫이었다. 남편은 네 번째 수술을 받고 마취에서 깨어나 저자에게 나한테 시집와서 고생만 많이 했다는 말을 했다. 이것을 천사의 말이라 표현한 것이다.

 

저자는 일 때문에 힘들어 한 남편을 위해 운영하던 화랑도 닫았다. 저자는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인 고린도전서 13장을 말한다. 자신을 지치지 않고 견디게 한 것이 사랑 장이었구나 란 말을 한다.

 

사랑은 언제나 오래 참고 사랑은 온유하며 사랑은 투기하지 아니하며 사랑은 자랑하지 아니하며 사랑은 교만하지 아니하며...사랑은 모든 것을 참으며 사랑은 모든 것을 믿으며 사랑은 모든 것을 바라고 견디느니라..그런즉 믿음, 소망, 사랑 이 세 가지는 항상 있을 것인데 그중에 제일은 사랑이라.“란 구절들로 이루어진 장이 사랑 장이다.

 

이 사랑은 종교적 사랑이다. 계산하지 않는 사랑, 숭고한 사랑이다. 저자는 중학교 2학년에 덜 익은 정포도라는 글을 써내 문예반에 들어간 후 글쓰는 일을 줄곧 해왔다. ‘남편이 천사의 말을 한다란 글에 저자가 사랑은 흐르고 미움은 고인다는 시를 썼다는 대목이 있다. 플라톤은 말은 흐르고 글은 남는다고 하며 그렇게 흐르는 말이야말로 신성하고 빠른 것이라 했다. 이 말을 저자의 말에 대입하면 사랑은 빠르고 신성한 것이라는 말이 되는가?

 

저자는 희망의 속삭임이란 장에서 청각 장애로 평생 장애자 수혜금을 받고 있다는 말을 한다. 지금은 청각이식수술을 받고 최신형 보청기로 말 뿐 아니라 음악까지 들을 수 있다고 한다. 저자는 일상을 글로 옮긴다. 시를 쓰는 것이다. 미국의 지하철에서 경험한 풍경도 적어놓았다.

 

나무 이야기, 꽃 이야기, 여행 이야기 등등 저자의 글에는 수필을 통해 만날 수 있는 많은 소재들이 있다. 인상적인 것은 이런 말들이다. ”지나온 우리의 삶이 행복한 것이었다고 나를 다독거린다.“, ”나는 이 돌층계를 끝까지 오르면 거기에 행복이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고 있었다. 스스로 만든 덫에 걸린 나를 탈출시켜야 한다.“, ”꿈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어떤가!“..

 

.‘탈출을 꿈꾸며란 시가 눈에 띈다. ”거울 면에서 멀어질수록/ 멀어져 가는 또 하나의 나는/ 오늘을 탈출하고 싶은 진정한 나이다/ 겨울비가/ 숲속에서 떠도는 어제/ 숨어버린 벌판의 바람과 그림자를 위하여/ 차갑게 흔들릴 때 나는 없어지고 싶어한다/ 시간에서 멀리 잡을 수 없는 공간으로/ 내부에서 밖으로 나와 무너지고 부서져 아무것도 아닐 때까지/ 스스로 부딪쳐 산산조각 흩어지는 나는/ 그대로 갇혀 있는 저 안의 흔적을/ 탈출시킨다/ 밤 깊은 저 너머로“(외우고 싶다.)

 

저자는 전주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전주에서 여중 1학년 때 서울로 전학 온 동기 생각이 난다. 저자는 고교를 이화여고에서 다녔다. 그리고 어려서부터 서예가이신 아버지 앞에서 먹을 갈고 붓글씨 연습을 했다. 시나리오를 써보라는 주위의 권유를 시 아니면 안 쓴다는 대책 없는 고집으로 물리쳤다. 저자는 이를 후회되는 일이라 말한다.

 

글씨가 활자보다 더 아름답다는 말을 들었다는(물론 지금도 그러리라.) 저자를 보며 나도 늦었지만 붓글씨를 연습할까, 하는 생각을 한다.(이렇게 늦은 나이에 붓글씨를 시작하는 사람이 있을까?)

 

저자는 여성운동을 달가워하지 않는다고 한다. 여자가 이 세상에 아이를 태어나게 하는 일은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특권이며 아무리 남자들이 무슨 말을 해도 뒤집어질 수 없는 가장 값진 일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어떤 모임에 나가든지 좋아하는 시를 복사해 나가서 함께 읽곤 한다.

 

황동규 시인의 즐거운 편지도 그 시들 중 하나다. 저자는 아직도 시를 많이 읽는 사람에게서는 향내가 난다는 생각을 깊이 새긴다. 누군가가 저자의 글에 잡글이나 쓰면서...“란 토를 달았다.(너무 무례하다.) 저자는 단정하고 네모나고 메마른 글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이라 자신을 표현한다.

 

그러면서 계속해서 나다운 잡글을 쓸 것이라 말한다. 이어 아주 인상적인 말을 한다. ”잘라내야 할 것을 적당한 시기에 제대로 잘라내야 글도 사람도 이 세상도 풍성해지는 것이거늘, ...“ 그렇게 하지 못했다는 자탄으로 읽힌다. 저자에게 시는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저자는 자신이 시를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날은 많이 힘들 때라고 한다. 시를 생각하는 순간부터 두려움과 함께 심한 두통이 엄습한다. 대학 때, 시를 꺼내기 위해서는 아주 깊은 우물 속 같은 험하고 외로운 곳으로 내려가야 한다는 체험을 했다. 시로부터 도망쳤지만 끝내야 할 때가 있다. 차분하고 담담하게 글들을 읽었다. 기쁨과 슬픔이 묘하게 어우러진 글이고 생각이다.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