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차례에 지나지 않지만 서촌 해설시에 빼놓지 않고 찾은 곳이 우당 이회영 선생 기념관이다. 사실 해설 코스에 포함시키지 않았기에 어정쩡하게 짧게 언급하고 지난 그곳은 방문한 것이 아니라 들른 것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회영 선생님 전기인 '한 번의 죽음으로 천 년을 살다' 서평단에 응모하며 한 번이라 할 것을 한 건이라 했다가 얼른 고쳤다. 이회영 선생님은 오늘날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란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전면적인 자기 희생과 헌신의 삶을 보냈다.

 

이어 신병주 교수의 참모로 산다는 것에도 응모했다. 이 책에는 정도전, 서거정, 김종직, 조광조, 남명 조식, 이이, 송강 정철, 허목, 정약용 뿐 아니라 송시열, 한명회, 세조, 신숙주, 임사홍, 이귀 등 싫어해 애써 공부하지 않았던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으니 당첨되면 진흙탕 같은 시간을 맞는 것일 수도 있다.

 

언젠가 정도전, 조광조, 조식, 정약용, 김종직, 허목 등만 따로 집중적으로 읽을 시간이 올 거라 기대한다. 독서 친구는 요즘 일제 치하의 독립 운동가 전기 및 송우혜 작가의 '못 생긴 엄상궁의 천하', '황태자의 동경 인질살이', '왕세자 혼혈 결혼의 비밀', '평민이 된 이은의 천하' 등을 읽고 있으니 나도 이 두 책('한 번의 죽음으로 천 년을 살다', ‘‘참모로 산다는 것’)으로 송우혜 작가의 책을 읽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겠다.

 

이 두 책은 내 역사 지식을 늘려줌은 물론 그것들을 조각조각난 채 내 머릿 속에서 부유(浮遊)하는 역사 지식들과 연결시켜 줄 것이다. 우선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 먼지처럼 모인다면 후에 산삭(刪削: 필요 없는 글자나 구절을 지워 버림)할 시간은 얼마든지 있으리라 생각한다.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모르지만 나에게 서평단 응모는 투수의 불펜 피칭과 같은 것이다. 즉 실전 등판을 위한 연습이다. 물론 나는 불펜 피칭도 전력으로 한다. 그래서 서평단 당첨 비율이 높은지도 모르겠다. 본 게임에 지장을 줄 수도 있지만 어떻든 최선을 다하는 것이 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