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하지 않아도 사유할 수 있지만 반가하면 사유가 잘/ 진행된다는 걸 당신도 아는지 사유의 형식이 사유를 돕기/ 는 하지만 방해하지는 않는다는 걸/ 당신은 고개를 끄덕이겠지 늘 반가상처럼 앉아 있겠지..."

 

조용미 시인의 '당신은 학을 닮아 간다'의 한 구절이다. 시인은 사유의 형식이 사유를 돕기는 하지만 방해하지는 않는다는 걸 아느냐 묻는다. 시인이 말한 사유의 형식은 반가 자세를 말하는 듯 하다. 반가(半跏)는 책상다리 자세이다.

 

서광 스님의 '단단한 마음 공부'에 이런 말이 있다. "좌선 자세를 하고 척추를 곧게 세워 보십시오. 호흡을 자연스럽게 두세 번 한 다음 몹시 미워하는 사람을 떠올려서 열심히 미워해 보십시오. 잘 안 될 것입니다."(103 페이지)

 

자세가 감정에 큰 영향력을 미친다는 의미의 글이다. 사실 이런 상관 관계는 막연히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또는 그러니 이제는 어떤 자세가 어떤 감정과 밀접한지 등에 대해 알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