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잠실에 다녀왔다. 잠실 교보문고에서 지인을 만났는데 나는 잠실에 교보문고가 있는 줄 몰랐다. 지금껏 잠실에는 몇 번 갔었다. 알라딘의 잠실롯데월드타워점이나 잠실새내점에 책을 사러 가기 위해서였다. 1960 1980년대 서울은 주택 및 시설 수요를 위해 연탄재를 이용해 한강변의 저습지를 매립해 택지를 조성했다.

 

청담동, 압구정동, 잠실, 방배동, 장안동, 구의동 등이 그런 과정을 거쳐 택지로 조성된 곳들이다.(‘서울 스토리’ 119 페이지) 나는 구의동이 지난 4월에서 8월 사이 심리상담을 받기 위해 갔던 뚝섬에서 멀리 있지 않다는 사실도 책을 통해 확인했다.

 

잠실(蠶室)을 생각하면 누에를 생각해온 것이 지금까지의 습관이었으나 이제는 연탄재를 생각할 법도 하지만 그런 점을 생각하기에 잠실(만이 아니고 전기한 모든 곳)은 너무 복잡다단하고 화려하다.

 

관련 내용이 책의 다른 부분에 있다. 우리 나라가 아파트 공화국이라 불리는 이유에 대한 글이다. 사람은 많고 공간은 부족하니 집을 고층으로 올릴 수밖에 없다고 사람들은 말하지만 경제성장이 근대화였던 시대에 대량의 주택 공급을 단기간에 실현시킬 목적으로 아파트가 선택되었다는 것이 맞다.

 

더욱 단기간 대량 건설의 부담과 시장 형성 가격보다 싸게 책정해야 하는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하에서 아파트가 표준화, 획일화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도 주목할 거리이다.(145 페이지)

 

수요자 측의 아파트 단지 선호의 사연도 들어볼 만하다. 사람이 많은 쪽에 서야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그간의 정치사회적 현실을 학습한 결과이다.(147 페이지) 서울을 하나 하나 알아가는 것이 재미 있다. 내일은 서촌 순례길에 오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