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디는 벤투의 스케치북이다. 이는 존 버거의 동명의 책 제목에서 따온 것으로 벤투는 ‘축복받은‘을 의미하는 베네딕트의 줄임 말이다.
스피노자(1632 - 1677)는 유대교에서 파문당한 뒤 유대 이름인 바루흐를 라틴 이름인 베네딕트로 바꾸었다.(바루흐도 ‘축복받은‘을 의미.)
한편 ‘고통스러운 곳으로부터‘를 의미하는 포르투갈어 에스피뇨자(espinhosa)에서 온 스피노자는 그의 성이다.
‘축복받은‘과 ‘고통스러운 곳으로부터‘의 기이한 결합이라 해야 하는가?
홍대선의 ‘어떻게 휘둘리지 않는 개인이 되는가‘에 스피노자의 삶과 사상이 소개되어 있다.(데카르트,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니체 등과 함께 소개)
서양 철학자들 중 내가 생몰 연대를 외우는 유일한 인물인 스피노자는 신 즉 자연 사상으로 유대교에서 파문당한 뒤 마지막 순간까지 철학 연구를 하며 유리(렌즈) 세공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
스피노자에게서 무엇보다 대단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가 자급자족의 삶을 살았다는 데 있다.
물론 스피노자에게 렌즈는 수입원이었던 한편 과학적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다.
스피노자는 천문학의 거시현상 관찰과 그런 발견을 가능하게 해주는 광학의 수학적 원리들에 매료되었다.(스티븐 내들러 지음 ‘에티카를 읽는다‘ 40, 41 페이지)
스피노자에게 렌즈와 기구들이 생계의 수단이기도 했고 과학적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 것은 인상적이다.
자신을 쟁취하지 못하는 인생은 실패라고 생각한 스피노자는 실제로 유대 공동체에서 파문당한 뒤 ˝이젠 자유˝라 외쳤다. 개인의 성취가 아닐 수 없다.
스피노자는 신체와 정신은 동등하며 평행하다는 주장(신체 - 정신 평행론)을 했다.(손기태 지음 ‘고요한 폭풍, 스피노자‘ 105 페이지)
사상과 삶의 일치, 생계수단이 된 렌즈가 과학적 관심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 특수한 사례, 그리고 신체와 정신의 평행론은 수미상관의 질서를 느끼게 한다.
이는 스피노자를 특별하게 인식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철학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