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핀란드)의 춥고 어두운 겨울을 떠올리게 하는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콘체르토를 듣고 났지만 더위는 그대로입니다.
그럼 우리 전통 음악을 들으면 어떨까요?
아무래도 쓸쓸한 가을 풍경을 떠올리기에 좋은 아쟁이 어떨까요?
현을 마찰해 소리를 내는 찰현 악기인 아쟁은 소슬(蕭瑟; 서늘하고 으스스하다, 고요하고 쓸쓸하다)한 악기입니다.
우리의 찰현 악기는 아쟁과 해금 뿐인데 흥미로운 것은 소슬하다의 슬(瑟)이란 글자가 큰 거문고 슬자라는 점입니다.
조선의 문신 계곡(谿谷) 장유(張維; 1588 - 1638)가 쓴 시에 이런 구절이 있습니다.
˝가을 밤에 울리는 아쟁 소리/ 현악기 소리가 관악기 소리 같네..˝
조선의 해금 명인 유우춘이 해금을 비사비죽(非絲非竹)으로 표현한 바 있지만 장유는 아쟁 소리를 듣고 사성여죽성(絲聲如竹聲)이라 표현했습니다.(絲는 현악기를 의미, 竹은 관악기를 의미)
해금이 현악기도 아니고 관악기도 아니라 불리는 것이나 현악기인 아쟁 소리가 마치 관악기 소리 같다고 인식된 것은 참 운치있습니다.
서양의 경우 클라리넷, 플룻, 오보에, 바순(파곳)과 금관악기이지만 음색이 목관 악기 같은 호른을 함께 묶어 목관 5중주로 부르는데요...
처음 이에 대해 알았을 때 낯선 느낌을 가졌습니다만 그 파격도 비사비죽 또는 사성여죽성의 파격에는 미치지 못한다 생각합니다.
세계 2차대전 중 프랑스의 가구 운반병으로 입대했다가 독일의 포로가 되어 괴를리츠 수용소에 억류된 채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를 작곡하고 연주까지 한 올리비에 메시앙을 생각해봅니다.
영하 20도의 혹독한 추위와 굶주림 속에서 피아노 연주를 맡았던 메시앙은 일찍이 그렇듯 자신의 음악을 황홀하게, 그리고 주의 깊게 잘 이해하며 듣는 청중은 없었다는 말을 했습니다.
메시앙이 수용소에서 곡을 지을 수 있었던 것은 독일 장교 하우프트만 칼 알버트 브륄의 배려 때문이었습니다.
이 화염 천지를 이길 곡으로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