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듬을, 특정 시간 동안 짧은 음과 긴 음이 서로 어우러지는 유형으로 정의한 존 파웰 (물리학/ 음악학자)은 다른 무엇이 아닌 춤에서는 리듬보다 박자와 템포가 훨씬 중요하다는 말을 한다. 파웰에 의하면 템포는 얼마나 빨리 춤을 추어야 하는지 알려주고 박자는 어떤 유형의 춤을 추어야 하는지 알려준다.(‘과학으로 풀어보는 음악의 비밀‘ 244, 262 페이지)
요즘 나는 춤 일반(의 특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몸치도 몸 고수도 아닌 내가 춤에 관심을 갖는 것은 춤을 삶의 메타포로 읽기 때문이다. 춤추듯 삶을 살 수 있다면 좋으리란 바람이 내 안에 있다.
당신이 걷는 동안 떠오른 생각만이 가치 있다고 말한 니체는 뜻 밖으로 ‘즐거운 지식’이란 책에서 춤을 철학자의 이상, 예술, 궁극적으로는 유일한 신앙이자 신에 대한 봉사로 정의했다.
니체가 말한 춤이 무엇에 대한 은유인지 아니면 말 그대로 춤 그것인지 알지 못하지만 나는 걸그룹 '오로라'의 드라마틱한 춤(엄정화의 포이즌) 동작을 유심히 지켜 보며 어떻게 저 춤을 따라 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
영문학자 김종갑 교수는 가장 많은 생각의 노력이 요구되는 듯 보이는 대화도 사실은 흐르는 물처럼 저절로 행해진다고 말한다. 그런 그가 드는 비유는 망치의 비유이다. 생각을 하고 망치질을 하면 자연스런 행동의 흐름이 덜컥 끊기면서 못 대신 손가락에 망치질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생각, 의식의 소음’ 133 페이지)
자연스럽게 리듬을 타는 것이 중요하다. 삶에서도 만남에서도. 누군가 내게 어려워하지 말고 편하게 하라는, 새로운 시간의 문이 열리는 곳으로 자연스럽게 걸어가라는 조언을 해주셨다. 춤에서 동작들을 자기 의지의 지배 아래 두려고 해서는 안 되듯 만남에서도 그래야 한다는 의미이다. 춤,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