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삼 시인의 ‘아득하면 되리라‘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사랑하는 사람과/ 나의 거리도/ 자로 재지 못할 바엔/ 이 또한 아득하면 되리라...˝

이 시는 건강하고 단순하고 맑다.

나는 이 시의 마지막 연( ˝...그리고 나는 이 냉수를/ 시방 갈증 때문에/ 마실밖에는 다른 작정은 없어라˝)을 읽고 마음의 평안을 얻었다.

그런데 엉뚱하게도 나는 부작용인지 내가 문제를 찾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인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심리상담을 받기 시작해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니 이야기 즉 문제 거리를 찾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냥 그쳐야 하는가? 나를 돕기 위해 애쓰는 심리상담사는 어느덧 내 친구처럼 느껴진다.

상담사는 기법을 갈고 다듬을 뿐 아니라 인성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해할 만하다.

물론 좋은 인성이 좋은 기법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굳이 양자 택일을 하라면 나는 인성을 고르겠다. 점집행의 대안인 나의 내담은 언제까지 가야하는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