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개의 atom 이야기...

 

1. 철학.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는 말은 파르메니데스의 말이다. 이는 동어반복이 아니라 있음 즉 유()는 가능하고 무()는 불가능하다는 말이다.(이정우 지음 세계철학사 1’ 128 페이지) 파르메니데스의 사유는 원자 즉 atom이란 단어의 배경을 생각하게 한다.

 

atom은 쪼갤 수 없다는 의미인데 만일 쪼갤 수 있다면 결국 무가 남을 것이고(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고) 이는 무에서 무엇인가가 생긴다는 이야기가 된다. 즉 아포리아이다. 그래서 이 아포리아를 피하기 위해 atom이란 개념이 설정된 것이다.

 

파르메니데스는 변화를 부정한다. 파르메니데스에 의하면 이 세계는 진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허상이다.(장우석 지음 수학 철학에 미치다.’ 참고)

 

2. 물리학..

 

일본의 물리학자 미치오 가쿠는 물리학자들은 원자로 만들어졌기에 물리학자의 활동은 스스로를 이해하려는 원자의 움직임이란 말을 했다. 문제는 인간이 원자로 이루어졌지만 원자의 거대 집합체인 인간은 원자와 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닐지, 하는 점이다.

 

3. 정치..

 

더는 쪼갤 수 없다는 의미의 원자(물론 저 단어가 생겼을 당시와 지금은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나뉘고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나뉘고..)는 정치적 의미도 갖는데 이는 가장 비정치적인 것에서 정치적 의미가 담긴 개인이라는 개념이 도출된 것을 의미한다.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것은 사회적으로는 다른 것으로 대체되지 않는 것 즉 개인이다. 즉 자유로운(지배 세력에 대해 자유를 요구하는) 개인이란 개념이 탄생한 것이다.('김월회, 안재원 지음 '고전의 힘, 그 역사를 말하다' 참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