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전문가가 한 사상가의 지적 계보와 인연 등에 초점을 두고 강연을 진행하는 세션 중 두 번째 시간에까지 참석했다. 어제 강연자는 해석학(解釋學)에서 말하는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지평 융합, 그리고 전이해(前理解) 등의 개념을 언급했다.

 

사상가가 처했던 삶의 자리와 시대 정신을 알아야 그에 대한 온전한 조명(照明)이 가능하다는 것이 어제 강연자의 결론 중 하나였다.

 

어제 강연자의 지도 교수인 김경재 교수에 의하면 전이해는 어떤 텍스트를 대할 때 독자 또는 수용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특정 시각을 말하는 바 이는 편견, 오해, 아전인수격 해석 등과 관련된 말인 한편 내용 자체를 이해하도록 이끄는 단초(端初)가 되기도 한다.

 

나는 이 말을 들으며 준비의 필요성을 실감했다. 강연을 들으려면 관련 책 두, 세권 정도는 읽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 질문도 하고 깊은 이해의 길에 들어설 수 있고 (필요하다면) 책임 있는 비판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달 세 번째 강연자로 나설 양현혜 교수의 시간(526)에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말한 대로 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책을 찾다가 이 분이 쓴 우치무라 간조, 신 뒤에 숨지 않은 기독교인와 번역서인 탕자의 정신사’, ‘동화의 숲에서 절대자를 만나다’, ‘메르헨 자아를 찾아가는 빛등의 흥미로운 책을 알게 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번역한 세 책이 모두 정치학과 유럽 정치사상사를 전공한 미야타 미쓰오의 책이기 때문이다. 미쓰오의 책들은 내 관심사와도 관련되었다.

 

동화의 숲에서 절대자를 만나다가 특히 그렇다. 성인들에게 동요 작가 윤극영에 대해 말해야 하는 내 과제에 단서가 될 것이기에 하는 말이다. 좋은 책을 만나는 것은 이렇듯 각별한 느낌을 불러 일으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