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가을(9, 10) 해설 때문에 바쁘고 행복했다. 당시 세 차례에 걸쳐 정동(貞洞)을 소재로 삼아 해설했고 올 1월에서 4월 초 사이에 경복궁 서쪽 마을, 도봉, 혜화, 성북동 등을 돌며 새롭게 배우고 느끼는 시간을 보냈다.

 

해설 때마다 시를 외웠는데 특별히 나무가 나오는 시를 의식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나무보다 꽃을 의식한 시를 외웠다고 해야 옳다. 해설에 적극 반영하지는 않았지만 경복궁 서쪽 마을도 나무를 주제로 해설하기에 좋은 곳이다. 특히 소나무가 intensive하게 나와 기이한 느낌마저 든다.

 

청송당(聽松堂)과 간송(澗松), 송강(宋江), 송석원(松石園), 세한도(歲寒圖)의 화가인 '추사'의 집이었던 창의궁(彰義宮)터와 통의동 백송(白松) 등에서 공통으로 관계된 나무가 소나무이다.

 

세한도는 날이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든다는 것을 안다는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歲寒然後知松栢之後彫也)라는 논어의 구절을 통해 잣나무와 소나무를 만날 수 있는 그림이다.

 

덧붙여 청운초등학교 앞의 송강 정철의 시비(詩碑) 중 하나인 산사야음(山寺夜吟)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에서는 낙엽 지는 소리를 비 내리는 소리로 오인했다는 부분에서 송풍회우(松風檜雨)를 이야기할 수 있다.

 

찻물 끓이는 소리가 소나무에 바람이 스치고 전나무에 비가 내리는 소리 같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천자(天子)의 소나무, 제후(諸侯)의 측백(側柏), 선비의 회화나무를 이야기하며 그렇게 정치(권력)적 의미를 갖는 나무와, 딸이 태어나면 가구를 짜주기 위해 심었다는 오동나무는 다른가 물을 수 있다.

 

오동(梧桐)은 봉황이 깃든다고 알려진 나무이다. 그러니 최고 권력을 염원하며 심은 것이라는 점에서 역시 권력과 깊은 연관이 있다. 지난 해에는 나무가 나오는 시들을 정리해 보내달라는 부탁을 받았으나 게을러 하지 않았다. 나는 사실 나무를 잘 모른다.

 

페터 볼레벤의 나무 수업이란 책이 화제이다. 나무에 대한 미시(微示)적 앎과 거시(巨視)적 앎이 잘 조화를 이루는 책이라 생각된다.(최근 주위에서 들을 수 있는 숲 해설은 너무 미시적인 내용들이 주종을 이루는 것 같다.)

 

박연준 시인의 증발 후에 남은 것이란 시를 읽는다. “봄의 식물들은 기다리는 게 일이다/ 자기 순서를// 날아가는 새의 힘 뺀 발들/ 그 작게 뻗은 만세,/ 아래로/날들이 미끄러진다// 소복이 쌓이는 새봄”.. 이 시를 통해 기다릴 줄 아는 여유를 배운다. 나무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