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지음, 황문수 옮김 / 문예출판사 / 2019년 8월
평점 :
가족, 연인 뿐만 아니라 친구나 직장동료 등 모든 인간관계에서 적용될 수 있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에리히 프롬은 사랑에 겸손, 객관성, 이성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는데, 셋 다 중요하지만 난 겸손에 더 가중치를 두고 싶다. 겸손하지 않고 오만한 이는 객관적으로, 이성적으로 타자를 판단하지 못한다. 내가 그러했는데 나는 항상 내 자신이 배려심이 깊은 사람이라고, 타자의 심리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내면 깊숙한 곳에 있었다. 이러한 자신감은 오만함을 불렀고, 오만함에 의해 나는 타자 그 자체가 아니라 내 주관에 의해 왜곡된 타자와 대화를 하게 되었다. 왜곡된 타자와의 대화는 결국 불일치와 갈등을 낳게 되고 결국 이는 인간관계를 파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버렸다.
타자를 이해하는건 불가능하다. 애초에 나 자신의 심리, 무의식도 알지 못하는데, 타자를 이해할 수 있겠는가? 타자를 완전히 이해하는건 플라톤의 이데아에 도달하는 것만큼이나 요원한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 좌절을 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한계가 있기에 인간관계는 어둠 속에 밝은 항성을 숨기고 있는 우주만큼이나 경이롭게 느껴진다.
그 동안 난 인간관계에서는 진심만 있으면 어떠한 갈등이 있더라도 결국은 좋게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거짓은 아무리 보기 좋게 느껴지더라도 결국은 들통나기 마련이니까, ‘모든 사람에게 진심을 가지고 대하면 갈등이 커질 일이 없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품고 있었다.
하지만 진심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인간관계에는 진심 이외에도 경외심이 필요하다는걸 깨달았다. 경외심은 단순히 조심성, 신중함, 타자에 대한 배려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것들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경외심은 마치 스테인드 글라스로 장식된, 웅장한 대성당에 발을 딛었을 때의 느낌과 비슷하다. 자신의 존재가 한없이 작다는걸 느끼는 마음, 하지만 그 느낌에 위축되지 않고 그러한 신비 자체를 있는그대로 존중하며 받아들이려는 마음, 이러한 것들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 경외심이다. 경외심이 있는 이들은 자신의 한계를 너무나도 잘 인식하고 있기에, 에리히 프롬이 말한 겸손, 객관성, 이성을 모두 가지고 타자들에게 접근할 수 밖에 없다.
만약 내가 다가가는 사람들에게 경외심을 가지고 다가갔더라면, 그들을 함부로 판단하고 왜곡하지 않았더라면, 타자들에게 의도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입히는 일이 훨씬 줄어들지 않았을까...
사랑은 자아도취의 상대적 결여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사랑은 겸손, 객관성, 이성의 발달을 요구한다. 우리는 이러한 목적에 전 생애를 바쳐야 한다. 겸손과 객관성은 사랑이 그런 것처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나는 이방인에게 객관적일 수 없는 한, 나의 가족에 대해서도 참으로 객관적일 수 없으며, 역(逆)도 진(眞)이다.
|